분류 전체보기(202)
-
04_대인동기
04_대인 동기 1. 대인 동기란 무엇인가 인간이 다른 사람과 인간관계를 맺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다른 사람을 만나서 교제하려는 내면적 동기는 무엇일까? 우리가 어떤 사회적 모임에 참여하는 내면적 욕구는 무엇일까? 우리는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어떤 욕구들을 충족시키려고 하는가? 인간은 집단을 이루며 함께 모여 사는 군집성 동물 ( Gregarious Animal ) 이다. 우리 인간은 대부분의 시간을 사람들 속에서 살아간다. 가족뿐만 아니라 사회를 구성하는 매우 다양한 사람들과 접촉하며 생활한다. 동물 중에는 홀로 살아가는 동물이 많다. 뱀이나 곰처럼 교미 기간이나 동면 기간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시간을 홀로 살아가는 동물이 많다. 또 집단적 생활을 한다 해도 가족 단위의 소규모 집단을 구성..
2023.03.06 -
제2부 인간관계의 심리학적 이해
제2부 인간관계의 심리학적 이해 인간관계는 '나' 와 '너' 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진다. 인간관계는 나와 너를 서로에게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나와 너는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성장하여 각기 다른 욕구, 가치관, 사고방식 그리고 행동 방식을 지닌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있다. 이렇듯 독특한 개성을 지닌 나와 너가 만나 서로를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는 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때로는 서로에게 호감을 느껴 우정과 사랑을 주고받는 친밀한 관계로 발전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서로에게 거부감을 느끼고 상처를 주고받으며, 미움과 증오를 느끼는 적대적인 관계로 발전하기도 한다. 과연 나와 너의 어떤 특성이 우리의 인간관계를 때로는 친밀한 관계로 때로는 적대적인 관계로 만드는 것일까? 과연 나..
2023.02.27 -
3) 알코올 관련 장애
3) 알코올 관련 장애 알코올은 적당히 섭취하면 긴장을 완화하고 인간관계를 촉진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양의 음주를 너무 자주 하게 되면, 알코올 관련 장애 ( Alcohol-Related Disorder ) 로 발전할 수 있다. 알코올 관련 장애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는 알코올 의존 ( Alcohol Dependence ) 으로서 알코올에 대한 내성과 금단현상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알코올을 반복적으로 섭취하게 되면, 점점 더 많은 양을 복용해야만 전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되는 내성 ( Tolerance ) 이 생겨난다. 그리고 알코올 섭취를 중단하게 되면 매우 고통스러운 상태가 나타나는 금단증상 ( Alcohol-withdrawal symptom ) 이 생겨난다. 따라서 점점 많..
2023.02.26 -
4. 인간관계 부적응과 심리적 장애 / 1)우울증
1) 우울증 1) 우울증 사례 대학교 1학년 학생인 W군은 요즘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무거운 마음이 밀려온다. 학교에 가서 하루하루 생활하는 것이 너무 괴롭고 힘들기 때문이다. W군은 고등학교 시절까지만 해도 학교에서 주목받는 우수한 모범생이었다. 그러나 대학에 진학하고 나서, W군은 자신이 인간적인 매력도 없고 능력도 없는 못난 열등한 존재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다. 다소 내성적인 W군은 입학 초기에 친구를 사귀는 데 적극적이질 못했다. 고등학교 때에는 특별히 노력하지 않아도 늘 주변에 친구들이 있었고 공부를 잘하는 W군 주변으로 친구들이 다가오곤 했었다. 그러나 대학에서는 아무도 W군에게 주목하고 다가오는 친구도 없었고, W군 역시 친구를 사귀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동료 학생에..
2023.02.25 -
(3) 회피성 성격장애 (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
(3) 회피성 성격장애 (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 는 다른 사람과의 만남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 때문에 사회적 상황을 회피함으로써 적응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회피성 성격장애 사례 2 학교 캠퍼스에서도 여러 사람이 앉아 있는 앞을 지나가는 일이 두려워 먼 길을 돌아다닌다. 버스나 전철을 탈 때도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쳐다보며 무언가 흉을 볼 것 같아 긴장하게 된다. P군은 미팅에 대한 호기심이 있지만 처음 만난 낯선 이성과 만나서 대화를 이어 나가지 못하고 어색해할 것을 생각하면 끔찍하여 대학 3학년이 되도록 미팅 한 번 하지 못했다. 현재 P군은 고등학교 동창이나 익숙한 한과 친구 한두 명 외에는 만나는 사람이 없다. P군은 어려서부터 조용한 성격이었으며 수..
2023.02.25 -
(2) 의존성 성격장애 (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
(2) 의존성 성격장애 (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 는 스스로 독립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과도하게 의존하거나 보호받으려는 행동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성격장애이다. 따라서 의존 대상이 자신을 멀리하는 것에 대해서 매우 예민하고 불안해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순종적이고 헌신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의존 상대와 친밀한 관계가 끝나게 되면, 일시적으로 심한 혼란을 곧 다른 의존 상대를 찾아 유사한 의존적 관계를 형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사회적 활동에 소극적이며 책임을 져야 하는 지위를 피하고,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이르면 심한 불안을 느낀다. 대인관계가 대체로 협소하며 의지하는 소수의 사람에게만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의존성 성격장애 사례 대학..
2023.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