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2)
-
3) 경직된 대인 신념
3) 경직된 대인 신념 인간관계의 부적응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경직된 대인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인 신념의 경직성이란 당위적이고 절대주의적이며 완벽주의적이고 융통성이 없는 완고함을 의미한다. ELLIS 나 BECK 같은 심리 치료자들은 부적응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해야 한다." 또는 "-해서는 안 된다. 당위적 명제 형태의 경직된 신념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인간관계는 항상 따뜻하고 신뢰하는 것이어야만 한다. 인간은 절대로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사랑은 열정적이어야만 한다. 나는 항상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아야만 한다. 다른 사람이 나를 미워해서는 안 된다." 등의 신념이다. 이러한 신념은 때로 바람직하고 희망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현실 속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
2023.03.30 -
6. 부적응적 대인신념
6. 부적응적 대인 신념 일상생활에서 부적응을 나타내는 사람들은 비현실적인 내용의 완고한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Beck,1976; 1958, 1962) 특히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을 나타내는 사람들은 원만하고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방해하는 여러 가지 부적응적인 대인 신념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부적응적인 대인 신념의 특성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부정적인 대인 신념 부적응적 인간관계를 나타내는 사람 중에는 부정적인 대인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L군의 사례에서 L군은 자기 외모에 대한 부정적 생각과 더불어 여성에 대한 부정적 믿음이 이성 관계를 가로막고 있다. 이처럼 원활한 인간관계를 저해하는 부정적인 대인 신념은 매우 다양하다. [ 부적응적인 대인 신념 사례 ] 공과대학 3학년인 L군은..
2023.03.29 -
5. 자기개념과 타인개념의 관계
'사람은 잘 변해서 믿을 수가 없다.' '모든 사람은 적대적이며 나를 이용하려고 한다.' 라는 신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신념은 과잉일반화된 편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람들 중에는 그러한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많다. 또한 우리가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상대방이 그렇게 행동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게 행동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대인신념의 자기강화적 속성 ] 인간의 삶에 있어서 신념은 매우 중요하다. 신념은 과거경험에 근거하여 어떤 대상의 속성에 대해 지니고 있는 믿음이다. 이러한 신념은 기본적으로 잘 변하지 않으며 스스로 옳음을 입증하려는 속성이 있어 점점 더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대인신념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대인 신념은 과거 경험의 결과인 동시에 타인의 행동을 ..
2023.03.28 -
4. 타인에 대한 신념
4. 타인에 대한 신념 인간관계는 자기개념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신념에 의해서 강력한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인간은 이기적이고 적대적이며 신뢰할 수 없는 존재라고 믿는 사람은 타인을 경계하고 의심하며 회피하는 대인행동을 나타내게 될 것이다. 반면에, 사람들이 선하고 호의적이며 신뢰하는 존재라고 믿게 되면, 그들에게 호감을 갖고 접근하여 능동적인 인간관계를 맺으려 할 것이다. 사람마다 인간에 대한 신념은 각기 다르다.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아니면 약한가? 인간은 이기적인가? 아니면, 이타적인가? 주변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호의적인가, 아니면 적대적인가? 사람은 과연 믿고 의지할 만한 신뢰하는 존재인가? 다른 사람들은 나보다 강한가, 아니면 약한가? 이런 물음에 대해서 어떤 믿음을 지니고 있느냐에 따라 ..
2023.03.26 -
3. 자기에 대한 신념 : 자기개념
마지막으로, 친밀한 인간관계를 맺는 방법에 대한 신념이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어떤 사람은 인간관계는 의도적 노력 없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그래야 한다고 믿는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은 인간관계가 불만족스러워도 특별히 개선을 위한 의도적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관계의 기회가 자연스럽게 찾아오기를 기다린다. 반면 인간관계는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에 의해서 개선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이런 신념을 지닌 사람은 인간관계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자신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인간관계의 측면을 고치고자 의도적으로 노력하게 된다. 3. 자기에 대한 신념 : 자기개념 인간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지니고 있는 생각과 신념에 따라 다른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진다. 자신은..
2023.03.23 -
2. 인간관계에 대한 신념
구체적인 대인관계 상황에서 타인의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는 인지적 과정에 대한 설명은 제7장 (대인지각과 대인사고) 에서 제시되고 있다. 인지적 입장에 따르면, 인간관계의 부적응 문제는 개인이 지닌 대인 신념과 의미부여 방식이 비현실적이고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적응 문제를 야기하는 대인 신념과 대인사고를 구체적으로 밝혀내어 이를 좀 더 현실적이고 적절한 것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인간관계가 개선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이러한 전문적인 인지적 기법을 사용하여 심리적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인지치료 ( Cognitive Therapy ) 라고 하며, 행동적 기법을 결합하여 심리적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인지행동치료 ( CBT : Cognitive Behavior Therapy ) 라고 부른다. 2. 인간..
2023.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