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2)
-
1. 대인신념이란 무엇인가
1. 대인 신념이란 무엇인가 예를 들어, 과거의 이성 관계에서 실망과 배신을 여러 번 경험한 사람은 '이성은 믿기 어려운 존재' 라는 믿음을 지니게 되고 따라서 앞으로 만나게 될 이성상대로 그러할 것이라는 예측하게 됨으로써 이성 관계에서 소극적이거나 회피적인 태도를 취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대인 신념은 대인관계 상황에서 개인의 행동과 판단을 결정하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이 된다. 셋째, 대인 신념은 새로운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고 평가하는 근거가 된다. 인간은 과거 경험에 비추어 새로운 경험의 의미를 해석한다. 인간관계 상황은 상대방과 주고받는 수많은 언어와 행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상대방이 행한 크고 작은 모든 언행에 주의를 기울이기 어렵기 때문에 그중 일부의 언행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게 ..
2023.03.21 -
5)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극복
5) 부적응적 대인 동기의 극복 부적응적 대인동기는 개인에게 좌절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불편감을 유발하여 원만한 인간관계를 저해하게 된다. 과도하고 부적절한 대인 동기로 인해 생겨나는 인간관계의 문제는 대인 동기의 변화를 통해서 극복될 수 있다. 그렇다면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첫째 방법은 현실의 대인관계 속에서 대인동기를 충분히 충족시키는 것이다. 배가 고플 때 충분한 음식 섭취를 통해서 배고픔이 가셔지듯이, 대인 동기를 만족시키면 그러한 동기는 부적절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흔히 특정한 대인 동기가 강한 사람은 현실 생활 속에서 그러한 동기를 충족시킬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에 부모로부터 충분한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한 경우가 많..
2023.03.20 -
아기공룡둘리는 착한아이일까? 민폐덩어리 일까?
#아기공룡둘리 어릴 적 무척 재미나게 봤던 추억의 만화 시리즈 중 하나이다. 얼마 전 고인이 되신 #검정고무신 #이우영만화가 #이우영작가님 #짱뚱이만화시리즈 부모님 시대의 이야기들로 가족이 공감하며 이해할 수 있는데 큰 몫을 한 #한국토종만화 를 생각하면 마음이 푸근하다. 그 당시에는 당연했겠거니와 너나 없이 앞뒤옆집 모두가 넉넉치 않은 시대적 배경에 작고 소소한 것들까지 나누며 정붙히고 살던 이야기들은 #한국사람 만이 할 수 있는 #대한민국의 이야기라서 지금보니 더 특색있게 느껴진다. #고길동 길동이가 이해되면 어른이 된 것이라는 말. 이해하고 싶지 않았지만, 절로 이해가 된다. 맨날 잔소리하고 혼내던 어른에 꿋꿋하게 맞서 따박따박 말대답하고 하루도 빠짐없는 사고뭉치 #MZ둘리가 어린이들에게 사랑받는 ..
2023.03.19 -
4. 부적응적 대인 동기
4. 부적응적 대인 동기 J군의 경우처럼 부적응적인 인간관계를 나타내는 사람 중에는 대인동기에 문제를 지니는 경우가 많다. 개인이 지닌 대인 동기의 내용과 강도 그리고 그러한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 방식이 부적절할 때, 흔히 부적응적 인간관계가 나타나게 된다. 대인관계에서 부적응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나타내는 대인 동기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극단적인 대인 동기 대인 동기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한 경우에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한 대인관계 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은 그러한 동기의 충족을 위해 과도한 노력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생활의 다른 측면이 희생되거나 타인에게 부담을 주게 됨으로써 부적응적 인간관계를 나타내게 된다. 앞의 사례에서 소개한 J군의 경우 대..
2023.03.18 -
4) 대인 동기의 목표 추구방식
따라서, 어머니의 사랑을 잃지 않으려고 지나치게 매달리는 의존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눈치를 보는 등 불안한 행동을 보이게 된다. 때로는 어머니에 대한 강렬한 애증 감정으로 인해 불안정한 감정반응과 행동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아이는 성장하여 타인의 인정과 사랑에 지나치게 의존적인 사람이 되거나 타인의 사랑을 믿지 못하고 타인의 거부에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하는 불안정한 인간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불안정한 애착의 두 번째 유형은 회피적 애착 ( Avoidand Attachment ) 이다. 회피적 애착 ( Avoidand Attachment ) 은 아이의 애착 행동에 대해 어머니가 지속해서 거부 반응을 보일 경우에 형성된다. 회피적 애착을 형성한 아이는 어머니에 대해 매달리는 행동을 포기하고 혼자 ..
2023.03.17 -
3) 부모와의 애착경험
[정신분석학의 인간론] Sigmund Freud 에 의해 시작된 정신분석 학설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이 자각하지 못하는 무의식적 동기에 의해서 행동한다. 인간을 움직이는 근원적인 무의식적 동기는 성적인 내용을 지닌다.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성적인 동기는 무의식적인 과정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그럴듯한 내용으로 변형되어 자각된다. Freud 는 인간의 삶을 성적인 욕구를 분출하려는 육체적 욕망과 이를 억제하려는 사회문화적 규범 간의 갈등으로 보았다. 그는 성적인 원초적 욕구를 충동적으로 발산하려고 하는 심리적 측면을 원초아 (ID) 라고 불렀으며, 도덕적인 사회문화적 규범이 내면화된 심리적 측면을 초자아 (Super Ego) 라고 불렀다. 아울러 원초아와 초자아의 요구를 절충하며 환경의 현실적..
202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