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극복

2023. 3. 20. 15:03YOUTH

728x90
반응형

 

5) 부적응적 대인 동기의 극복


부적응적 대인동기는 개인에게 좌절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불편감을 유발하여 원만한 인간관계를 저해하게 된다. 과도하고 부적절한 대인 동기로 인해 생겨나는 인간관계의 문제는 대인 동기의 변화를 통해서 극복될 수 있다. 그렇다면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첫째 방법은 현실의 대인관계 속에서 대인동기를 충분히 충족시키는 것이다. 배가 고플 때 충분한 음식 섭취를 통해서 배고픔이 가셔지듯이, 대인 동기를 만족시키면 그러한 동기는 부적절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흔히 특정한 대인 동기가 강한 사람은 현실 생활 속에서 그러한 동기를 충족시킬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에 부모로부터 충분한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에 부모로부터 충분한 애정을 받은 사람은 성장하여 애정을 얻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려 들지 않는다. 어린 시절에 애정욕구가 좌절되어 과도한 의존 동기를 지니는 사람의 경우, 성인이 되어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 속에서 의존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키게 되면 타인에 대한 의존 동기가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부적절한 의존 동기를 가진 사람이 현실적인 인간관계에서 그러한 체험을 하는 일은 절대 쉽지 않다.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지니는 두 번째 방법은 의식적인 조절을 하는 방법이다. 흔히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지니는 사람은 자신이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지니고 있어서 불만스러운 인간관계가 초래된다는 사실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사람은 흔히 다른 사람이나 상황을 탓하는 경우가 많다. 부적절한 대인 동기가 스스로에게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신도 모르게 그런 욕구가 자꾸 솟아오르게 된다. 이러한 부적절한 대인 동기의 변화를 위해서는 자신의 인간관계 방식을 스스로 잘 관찰하여 이러한 동기가 자신에게 내재해 있음을 자각하는 일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이러한 부적절한 대인 동기가 어떻게 불만족스러운 부적응적 인간관계를 초래하게 되는지를 깊이 이해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러한 자각과 이해의 바탕 위에서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조절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면 대인관계의 개선이 가능하다. 특정한 대인 동기가 조절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면 대인관계의 개선이 가능하다. 특정한 대인 동기가 현실적인 대인관계 속에 과도하게 그리고 부적절하게 나타날 때, 이를 자각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대인 동기의 변화를 위한 개인적인 노력이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리상담전문가들은 인간관계의 문제를 야기하는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자각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대인 동기의 충족과 변화를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심리상담 전문가와의 신뢰하는 관계를 통해 여러 가지 대인 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인 동기의 의식적인 조절을 위해 구체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다.


05_ 대인 신념

1. 대인 신념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자신이 믿는 대로 행동한다. 자신이 옳다고 믿는 대로 행동한다.
대인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신념은 개인이 옳다고 믿고 있는 지적인 이해나 믿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신념은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이다. 대인 신념 ( Interpersonal Beliefs ) 은 대인관계와 대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신념을 말한다. 이러한 신념은 과거의 대인관계 경험을 체계화한 기억내용이며 또한 미래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지적인 바탕이 된다.

인간은 지적인 존재로서 세상에 대한 지적인 이해를 추구하며 지식을 축적하여 행동과 판단의 근거로 삼는다. 인간은 어린 시절부터 세상에 대한 초보적인 형태의 지적인 이해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출생 초기엔 부모나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타인과 세상에 대한 막연한 인식을 형성해 간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나' 라는 자기의식이 싹트게 되고 타인과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에 대한 인식과 타인에 대한 감정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인간은 부모뿐만 아니라 성장 과정에서 형제자매, 친척, 교사, 친구, 선후배, 연인을 만나 다양한 인간관계의 체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체험은 우리의 기억 속에 남아 미래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인 신념은 이렇듯 과거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인간관계 체험에 근거하여 개인이 굳게 믿고 있는 믿음을 말한다. 이러한 대인 신념은 대인관계 상황에서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대인 신념은 다음과 같은 속성을 지닌다. ( 권석만, 1995 ; Veck, Rush, Shaw, & Emery, 1979 )

첫째, 대인 신념은 일시적인 사고내용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지니고 있는 안정된 사고내용을 의미한다. 개인은 누구나 과거의 인간관계 경험을 자신의 기억 속에 나름대로 체계적인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대인 신념은 이렇게 수많은 경험내용을 체계적으로 추상화하여 마음 깊숙이 지속적으로 지니고 있는 심층적이고 안정된 신념으로서 인간관계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나름대로의 대인 신념을 지니고 있으나, 사람에 따라 그 신념의 내용이 자각되는 수준이 다르다.

둘째, 대인 신념은 새로운 인간관계 상황에 대한 기대와 예측의 근거가 된다.
인간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한다. 그리고 예측내용에 따라 행동이 달라진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