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부적응적 대인 동기

2023. 3. 18. 00:29YOUTH

728x90
반응형

4. 부적응적 대인 동기


J군의 경우처럼 부적응적인 인간관계를 나타내는 사람 중에는 대인동기에 문제를 지니는 경우가 많다. 개인이 지닌 대인 동기의 내용과 강도 그리고 그러한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 방식이 부적절할 때, 흔히 부적응적 인간관계가 나타나게 된다. 대인관계에서 부적응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나타내는 대인 동기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극단적인 대인 동기


대인 동기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한 경우에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한 대인관계 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은 그러한 동기의 충족을 위해 과도한 노력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생활의 다른 측면이 희생되거나 타인에게 부담을 주게 됨으로써 부적응적 인간관계를 나타내게 된다. 앞의 사례에서 소개한 J군의 경우 대학에서 대인관계를 넓고 활발하게 하려는 동기가 너무 강하여 지나치게 많은 동아리에 가입하고 이를 감당하지 못함으로써 결국 추구했던 목표를 실현하지 못하고 오히려 좌절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의존 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은 주변 사람들에게 과도하게 집착하고 의지하려 함으로써 그들로부터 거부당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흔하다. 인간은 누구나 어느 정도의 의존 동기를 지니며 부모, 교사, 선배, 연인과 같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사랑과 인정을 받고 그들에게 의지하고 싶어 한다. 그리고 그들과의 관계에서 적절한 관심과 애정을 받게 되면 행복감을 느끼며, 때때로 의존 욕구가 좌절되더라도 이를 참아내며 그들과의 인간관계를 지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의존 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은, 마치 오랫동안 굶주린 사람처럼, 상대방으로부터 아무리 사랑과 애정을 받아도 만족하지 못한다. 이런 사람은 혼자 있는 것을 참지 못하며 항상 의존 상대와 함께 있고 싶어 한다. 늘 애정을 확인하려 하며 상대방에게 무리한 기대와 요구를 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방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게 되어 그로부터 거부당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렇듯, 의존 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은 자신도 인간관계에서 고통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인간관계를 지속하기가 어렵다. 이와는 반대로, 대인 동기가 지나치게 결여되어 있는 사람도 인과관계에서 부적응을 나타낸다. 예컨대, 친애동기가 현저하게 부족한 사람은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려는 욕구나 의지가 결여되어 있으므로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기 어렵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고립되고 소외된 대인관계 양상을 나타낸다.


2) 부적절한 대인 동기


대인관계에서 부적응을 경험하는 사람 중에는 상황에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지니는 경우가 많다. 부적절한 대인 동기란 특정한 대인관계 상황에서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어긋나는 동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지닌 사람은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하거나 당혹스럽게 만든다. 

 

인간은 다양한 대인 동기를 지니며 자신이 처한 대인관계 상황에 적절한 동기를 일으켜 행동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인관계의 상대나 상황에 알맞은 대인 동기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사노라면 때로 주도적이고 지배적인 위치에서 인간관계를 맺어야 하는 상황에 처하기도 하고, 때로는 지시와 명령을 받으며 일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나이 어린 후배와 일을 할 때는 좀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기대되는 반면, 부모나 선배와 일을 할 때는 좀 더 순종적이며 추종적인 역할을 하도록 기대된다. 그러나 함께 일하는 상대나 상황에 상관없이 항상 자신이 주도적이고 지배적인 위치에 서고자 하는 사람은 필연적으로 인간관계에서 갈등을 겪는다.


3) 비현실적 대인 동기


대인관계에서 현실적인 대인 동기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현실적인 대인 동기란 주어진 대인관계 상황에서 실현 가능한 욕구를 의미한다.
비현실적인 대인 동기를 지니게 되면 결과적으로 좌절과 불만을 경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이 항상 자신에게 호감을 갖고 친밀한 행동만을 하리라고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이미 확고한 조직체계가 구성되어 있는 집단에 새로 가입하여 단기간에 자신이 중심적인 위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려고 기대하는 것은 실현 가능성이 낮은 욕심이다. 일시적인 모임에서 타인과 깊이 있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그들로부터 정서적 지지와 이해를 받고자 하는 사람은 좌절감을 느끼기 쉽다. 이렇듯 비현실적인 대인 동기를 지닌 사람은 인간관계에서 스스로 좌절감과 불만족감을 많이 느끼게 된다.


4) 불균형적인 대인 동기


대인 동기의 적절성과 아울러 대인 동기들 간의 균형이 중요하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인간은 의존 동기, 친애 동기, 지배 동기, 공격 동기, 자기 존중감의 동기 등 다양한 대인 동기를 지닌다. 이러한 대인 동기들 중 어느 하나에만 지나친 중요성을 부여할 경우 대인관계는 원활하게 지속되기 어렵다. 예를 들어, 타인에게 의존하거나 타인을 지배하려고만 하는 사람은 타인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어렵다.

이 밖에도 대인동기를 행동화하는 방식이 부적절한 경우에 인간관계의 부적응이 생겨나게 된다. 지배 동기를 지닌 사람이 수동적이고 회피 지향적인 경향을 지니게 되면 지배 동기의 충족이 실현되기 어렵다. 반면, 친애동기를 가진 사람이 지나치게 조급하고 과격한 행동을 나타낸다면, 다른 사람에게 거부감을 주어 오히려 친밀한 대인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IN MY OPINION

 

무엇이든 적당해야 한다. 

적당한 거리를 두고,

적당한 거리감을 갖자.

 

Like a cat.

고양이 처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