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감정(3)
-
2. 긍정적인 대인감정과 대인행동
이러한 표현행동의 방식은 문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젊은 세대는 기성세대에 비해 좀 더 적극적인 감정표현을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동양문화권의 사람들은 감정표현을 억제하는 반면, 서구 문화권에는 감정을 잘 드러내는 사람이 많다. 특히 한국 사회는 유교문화권으로서 감정표현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 아울러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간접적이고 우회적으로 표현하거나 때로는 거꾸로 표현하는 행동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자신의 감정을 소극적으로 표현하는 문화에서는 상대방의 감정과 의도를 판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상대방의 비언어적 행동이나 단서를 통해 의도를 파악하는 '속마음 읽기' 즉, '눈치' 가 발달하게 된다. (권석만, 1996b; 최상진, 1995) 불분명하고..
2023.10.27 -
1) 인간의 감정
인간이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서를 몇 개의 차원 상에 체계적으로 분류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었다. 그러한 노력을 기울인 사람 중의 하나인 Russell (1980) 은 28개의 정서단어들을 사람들에게 유사성에 근거하여 평정하게 하였다. 다차원기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서는 크게 2차원, 즉 유쾌-불쾌 차원과 각성 - 비각성 차원 상에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양한 정서 단어들이 2차원 상에 공간적으로 배열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2) 대인감정 인간의 경우, 대부분의 감정은 인간관계 속에서 체험된다. 인간의 감정은 진화과정에서 형성한 생물학적 기반을 지니고 있지만 주로 인지적 평가의 결과로 발생한다. 이런 점에서 대인감정은 대인 사고..
2023.07.31 -
제2부 인간관계의 심리학적 이해
제2부 인간관계의 심리학적 이해 인간관계는 '나' 와 '너' 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진다. 인간관계는 나와 너를 서로에게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나와 너는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성장하여 각기 다른 욕구, 가치관, 사고방식 그리고 행동 방식을 지닌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있다. 이렇듯 독특한 개성을 지닌 나와 너가 만나 서로를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는 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때로는 서로에게 호감을 느껴 우정과 사랑을 주고받는 친밀한 관계로 발전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서로에게 거부감을 느끼고 상처를 주고받으며, 미움과 증오를 느끼는 적대적인 관계로 발전하기도 한다. 과연 나와 너의 어떤 특성이 우리의 인간관계를 때로는 친밀한 관계로 때로는 적대적인 관계로 만드는 것일까? 과연 나..
2023.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