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2)
-
03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03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타인으로부터 소외된 고독한 삶은 불행하고 고통스럽다. 그래서 인간은 누구나 고독을 두려워한다. 인간이 죽음 다음으로 두려워하는 것은 고독이라고 한다. 이는 인간사회에서 타인을 처벌하는 방식에서도 나타난다. 인간에게 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벌은 감금이다. 즉, 교도소에 감금하여 타인과의 관계를 강제적으로 차단하고 고립시키는 것이다. 특히 독방 수감은 가장 참기 어려운 가혹한 형벌로 알려져 있다. 고독, 즉 타인으로부터 차단되고 격리된 상태가 왜 고통스러운 것일까? 고독이 괴로운 이유는 인간이 근본적으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사회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존재가 비사회적 삶을 살아갈 때 고통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사람 인자는 형상 그대로 사람과 사람이 서로 의..
2023.02.01 -
02 현대인의 고독
02. 현대인의 고독 셍덱쥐페리의 우화적 소설 '어린 왕자'에 나오는 어린 왕자와 여우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다. 바쁘게 돌아가는 경쟁사회 속에서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맺으며 마음속 깊이 고독을 안고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인간은 나약하고 외로운 존재이다. 그래서 인간은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자 하는 소망을 지닌다. 여우가 말하듯이 '길들이기' 를 통해 친밀한 정서적 유대관계를 맺고자 하는 깊은 갈망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이러한 소망과 갈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좋은 토양이 아니다. 현대사회에서 깊이 있고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래서 많은 현대인은 외로움을 안고 산다. 살아가면서 고독을 느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사노라면 ..
2023.02.01 -
01 인간관계의 의미
1. 어린 왕자 지구에 막 도착한 어린 왕자에게 여우가 인사를 건넸다. "안녕." "안녕. 넌 누구니? 참 이쁘구나." 어린 왕자가 말했다. "나는 여우야." "이리 와서 나하고 놀자. 난 아주 쓸쓸하단다." "난 너하고 놀 수가 없어. 길이 안 들었으니까." "난 친구를 찾고 있어. 그런데 길들인다는 게 무슨 말이니?" "모두 잊고 있는 건데,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란다." 여우가 대답했다. "관계를 맺는다고?" "응. 지금 너는 다른 애들 수만 명과 조금도 다름없는 사내아이에 지나지 않아. 그리고 나는 네가 필요 없고, 너는 내가 아쉽지도 않을 거야. 네가 보기엔 나도 다른 수만 마리 여우와 똑같잖아? 그렇지만 네가 나를 길들이면 우리는 서로 아쉬워질 거야. 내게는 네가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존재가 ..
2023.01.31 -
나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가장 먼저 심리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단순히 사람이 궁금해서라기보다는, 개인적인 사유에서였다. 살고 싶어서. 잘 살고 싶어서. 눈치 없다, 융통성 없다, 자꾸 없다는 이야기를 듣다 보니, 나는 장점이 쥐뿔만큼도 존재 않는 인간인 줄 알았다. 그렇게 단점들로 가스라이팅 당하다 보니 자연스레 내 자신감은 하락했었다. 그 와중에도 가족들이 전해준 사랑은 남아있어서 자존감은 있었나 보다. 죽고 싶지는 않았고 그저 잘 살고 싶었다. 나도 다른 친구들과 같은 교우관계를 가지며, 다양한 경험을 하고 즐거움을 공유하는 그런 사람이 되고 싶었다. 지금 당장 1000% 성공했다고 하기에는 애매하지만, 105% 정도는 달성한듯하다. 현재는 자발적 아싸일지언정, 그래도 잠깐이나마 인싸의 삶을 살아보았으니 소기 목적은 ..
2023.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