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2)
-
3. 부적응적 인간관계와 성격장애
1) A군 성격장애 (1) 편집성 성격장애 한 중소기업의 기술연구소에 근무하는 30대 중반의 연구원인 C씨는 요즘 매우 우울하다. 이 세상에는 너무 부당한 일이 많으며 자신은 이런 세상을 살아가기에는 부적격자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4남매 중 둘째 아들인 C씨는 어린 시절 똑똑하고 당돌한 소년이었다. 아버지는 매우 가부장적이고 봉건적인 사람으로 장남인 C씨의 형을 총애하고 동생들이 형에게 순종할 것을 강요당했다고 한다. C씨는 초등학교 시절부터 이러한 아버지에게 저항하여 자주 대들었으며 아버지가 매질해도 절대 잘못했다고 빈 적이 없는 매우 고집 센 소년이었다. 초등학교에서 공부를 잘했으나, 담임교사가 부잣집 아이들에게 부당한 혜택을 준다고 불평하며 따지는 등 당돌한 행동을 하여 늘 교사로부터 미움을 ..
2023.02.16 -
5) 인간관계 의존형
흔히 유능하고 강한 사람을 의지의 대상으로 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대상에 대해서는 과대평가하고 때로는 우상화하기도 하는 등 상대방에게 매료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그렇게 의지할 만한 사람에게 적극적으로 접근하여 강렬하고 친밀한 관계를 급속하게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대방을 전폭적으로 칭송하고 찬양하거나 자신의 많은 것을 희생적으로 제공하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이렇게 형성된 인간관계 속에서 자신의 모든 것을 상대방에게 맡기고 자기 삶을 의탁하게 된다. 크고 작은 여러 가지 일에서 스스로 결정과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의지하는 사람에게 조언과 지시를 구한다. 그리고 의지하는 사람의 곁에 항상 붙어 있으면서 관심과 애정을 지속해서 받고 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인간관계 의존형은 이렇듯 ..
2023.02.16 -
4) 인간관계 반목형
이해관계의 측면에서나 감정교류의 측면에서 나의 뜻대로 상대방이 따라 주지 않거나 상대방이 나의 이익과 감정을 일방적으로 손상하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갈등 상황을 적절하게 잘 해결하는 것이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해 필요한 중요한 대인 기술이다. 갈등 상황에서는 서로의 불쾌한 감정을 최소화하고 자신의 정당한 권리와 이익을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관계 반목형은 이러한 갈등 상황을 해결하는 기술이 미숙한 사람들이다. 따라서 갈등이 증폭되거나 확산하고 심한 감정손상을 경험하게 되며 나아가서 자신의 권리와 이익 역시 손상당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인간관계 반목형은 제 생각과 감정을 조절하여 표현하는 기술이 부족한 사람인 경우가 많다. 이들은 제 생각과 감정을 지나치게 직선적이고 강하게 표현하여 상..
2023.02.14 -
3) 인간관계 미숙형
3) 인간관계 미숙형 인간관계 미숙형은 대인관계 기술 또는 사교적 기술이 부족하여 인간관계가 원활하지 못한 사람들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인간관계 회피형이나 피상형과 달리, 다른 사람과 친밀하고 깊이 있는 인간관계를 맺고자 하는 상당한 욕구를 지니며 사람들에게 접근한다. 그러나 친밀한 인간관계는 이러한 욕구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다른 사람이 호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자신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잘 읽고 그에 알맞게 대응하는 사교적 기술이 원만하고 깊이 있는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이렇듯 인간관계에 필요한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기술을 대인관계 기술이라고 하며 이에 대해서는 제6장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인간관계 미숙형은 이러한 대인관계 기술..
2023.02.13 -
2) 인간관계 피상형
2) 인간관계 피상형 인간관계 피상형은 깊이 있고 의미 있는 인간관계를 맺지 못하고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맺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겉으로 보기에 넓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있는 듯이 보일 수 있다. 때로는 지나칠 만큼 교제 범위나 활동 범위가 넓으며 다양한 부류의 많은 사람과 알고 지내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자신의 속마음을 털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한 친구가 없는 사람들이다. 즉, 아는 사람은 많지만 진정한 친구가 없는 사람들이다. 인간관계 피상형은 내면적으로 고독한 사람이다. 평소에는 커다란 갈등 없이 지내지만 어려움이 생기면 속마음을 털어놓고 자신의 고민이나 괴로움을 같이 나눌 사람이 없기 때문에 심한 외로움과 고독감에 빠져들게 된다. ' 인간관계 피상형은 다른 사람과 깊이 있고 밀착된 관계를 ..
2023.02.13 -
2. 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인간관계 경시형은 인간관계가 삶에 있어 중요하지 않으며 실상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달리 말하면, 인간관계 보다는 학문이나 공부, 예술적 작업, 종교활동이 중요하다고 믿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인간관계에 시간을 들여 신경을 쓰는 것이 헛된 낭비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인간관계 경시형은 평소에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다. 오히려 고독을 즐긴다. 그러나 이러한 기간이 장기화하면 이유 없는 권태감이나 무력감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사는 것이 재미가 없고 활기를 잃게 된다. 삶에 대해서 허무주의나 비관주의로 흐르는 경향이 생겨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애정이 필요하며 인간관계 속에서 애정을 공급받지 못하면 삶의 의욕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이런 사람 중에는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업적과 작품을 내놓는 경우도 있다..
202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