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H(79)
-
조작적 조건형성 (Operant Conditioning)
조작적 조건형성 (Operant Conditioning) 은 어떤 행동의 결과가 보상이면 그 행동이 증가하는 반면, 그 결과가 처벌적이면 행동의 빈도가 감소하는 학습의 원리를 의미한다. 우리는 어떤 새로운 행동을 했을 때 상대방으로부터 칭찬을 받게 되면 그러한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된다. 또한 그러한 행동에 대해 꾸중을 받게 되면 그 행동을 더 이상 하지 않게 된다. 인간의 대인 기술이나 대인행동은 이처럼 성장 과정에서 부모, 교사, 친구들로부터 강화를 받은 행동들이 습득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대인 기술과 관련해서 중요한 학습의 원리는 사회적 학습 ( Social learning ) 이다. 사회적 학습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원리를 의미한다. 예컨대, ..
2023.04.12 -
[인본주의 심리학]
[ 인본주의 심리학 ] 인본주의 심리학 (Humanistic Psychology) 는 정신분석적 입장과 행동주의적 입장을 비판하면서 1950~1960년대에 긍정적인 인간관에 근거하여 새롭게 대두되었으면서 제3대의 심리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인본주의 심리학을 주도한 인물 중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학자는 Carl Rogers (1920-1987)이다. 그는 임상심리학자로 일하면서 쌓은 심리로 경험에 근거하여 인간중심 치료(Peron Centred Therapy) 를 발전시켰는데, 현대의 심리치료사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사람으로 평가되고 있다. (Norcross & Prochaska, 1982) Rogers (1961, 1980)에 따르면, 인간은 근본적으로 자기실현은 추구하는 존재이다. 인..
2023.04.11 -
4) 설명하기
4) 설명하기우리는 인간관계 속에서 자신의 입장, 생각, 지식을 상대방에게 전달해야 하는 상황에 자주 부딪히게 된다. 예를 들어, 자신이 처한 상황을 상대방에게 납득시켜야 하는 경우,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견을 이해시키고 설득시키는 경우,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경우와 같이 자기 생각을 전달해야 하는 상황이 많다. 이렇듯,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설명하는 일은 중요한 대인 기술의 하나이다. 설명하기 (Explaining) 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정보를 상대방에게 제공하고 공유하기 위한 중요한 의사소통 기술이다. 이뿐만 아니라, 설명하기는 어떤 현상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자신의 지식, 이해, 의견, 태도, 가치를 표명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자신이 소유한 정보나 의견을..
2023.04.08 -
3. 언어적 대인기술
3. 언어적 대인 기술 1) 경청하기우리는 우리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잘 들어주는 사람에 대해서 호감을 느낀다. 특히 적극적 경청을 통해 상대방이 나의 이야기에 깊은 관심과 공감을 나타낼 때 우리는 이해받고 있다고 느끼게 된다. 이런 점에서,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경청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대인 기술이다. 2) 질문하기 대인 관계는 상호 작용으로서 서로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질문하기 (Questioning) 은 이러한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 중요한 대인 관계 기술이다. 질문하기는 기본적으로 상대방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요청하고 상대방의 태도, 감정, 의견을 확인하는 행동이다. 이러한 행동은 상대방과 그의 화제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표현하는 것이기도 하며 때로는 의사소통 과정을..
2023.04.06 -
5) 공간활용
이러한 영역 안으로 타인이 들어오면 불편감과 위협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공원 벤치의 경우, 낯선 사람 옆에 앉을 때는 각자의 개인적 공간을 침범하지 않기 위해 적당한 거리에 떨어져 앉는다. 그러나 친한 사람에게는 이러한 영역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허용한다. Hall (1966) 에 따르면, 사람들이 주위 공간을 자신을 중심으로 친밀역 (0~60cm), 개인역 (60~120cm), 사회역 (120~330cm), 공공역 (330cm 이상) 으로 나누고 매우 친밀한 사람은 친밀역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허용한다고 한다. 이렇듯, 물리적 거리는 상대방에 대한 친밀감을 표현하는 주요한 공간적 수단이다. 이러한 공간 행동은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아랍인과 남미인들은 매우 가까이서 대화하는 반면, ..
2023.04.05 -
3) 신체언어 (Body Language)
우리는 대화하는 동안 손, 팔, 머리 몸통을 끊임없이 움직인다. 이러한 몸의 움직임을 통해 우리는 많은 것을 표현하고 전달한다. 몸동작을 통해 의사를 표현하는 제스처는 신체언어 (Body Language)의 주요한 범주이다. 우리는 자신의 이야기를 강조할 때는 손을 번쩍 들거나 주먹을 불끈 쥐어 들고, 상대방의 이야기를 반대하거나 중단시킬 때는 손을 내젓기도 한다. 또한 상대방의 의견에 대해서 고개를 끄덕여서 동의를 표현하기도 하고, 고개를 가로저어 반대를 뜻하기도 한다. 물건의 형상이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손과 팔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몸의 움직임을 적절히 잘 사용하는 것은 말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하거나 강렬하게 만드는 기능을 지닌다. 훌륭한 연설가나 웅변가는 대부분 적절하고 강력한 제스쳐..
2023.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