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H(79)
-
3) 대처자원 평가과정
대처결정 과정은 Lazarus (1991)가 말하는 이차적 평가에 해당되는 심리적 과정이다. Lazarus (1991)에 의하면, 사람들은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일차적 평가를 하고 나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이차적 평가 (Secondary Appraisal) 라고 했다. 대처결정 과정은 자신이 동원할 수 있는 대처자원을 평가하는 과정과 여러 가지 대처 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결정 과정의 결과에 따라서 우리의 대인행동이 결정되는 것이다. 대처자원 평가과정 우리는 대처행동을 결정하기 전에 자신이 지니고 있는 대처자원을 고려한다. 대처자원 (Coping Resources) 은 자신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
2023.07.24 -
의미평가 과정
Ellis (1962) 에 의하면, 대인관계에서 부적응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항상 나에게 ~해야 한다." 또는 "나는 언제나 타인과의 관계에서 ~ 해야 한다. " 또는 "~해서는 안 된다." 라는 당위적인 명제형태 신념을 자신이나 타인에게 부과하며 그러한 신념에 어긋나는 결과가 발생하면 매우 부정적이고 재난적인 것으로 평가하게 된다. 대인관계와 관련된 비현실적 신념의 예 중에는 "나는 항상 다른 사람들로부터 애정과 존중을 받아야 한다." "나는 항상 다른 사람들 앞에서 절대로 실수해서는 안 된다. " "친구는 항상 모든 것을 함께 나눌 수 있어야 한다." 와 같은 신념들이 있다. 이러한 신념은 누구나 소망하는 것이지만 현실 속에서 충족되기 어려운 비현실적인 신념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신념을 지닌 ..
2023.07.21 -
다양한 사고
독심술적 사고 독심술적 사고 (Mind reading) 충분한 근거 없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마음대로 추측하고 단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치 다른 사람의 마음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독심술사처럼 매우 모호하고 사소한 단서에 의해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함부로 단정하는 오류이다. 이런 오류를 범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타인의 마음을 정확하게 꿰뚫어 볼 수 있는 능력을 지녔다고 믿는 경우가 많다. 또 이런 경우가 상대방의 마음을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판단이 옳았다고 생각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판단하에서 상대방에게 행동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반응이 자신의 예측과 비슷하게 나타나게 되어 자신의 판단이 옳았다고 확신하게 된다. 예를들어, E군은 여자친구가 예전처럼 자신에게 밝은 표정을 보여 주지 않자..
2023.07.17 -
개인화 ( Personalization )
흑백논리적 사고 ( all or nothing thinking ) A군은 상점에 가서 판매원이 웃음을 짓거나 상냥하게 인사를 건네며 친절하게 대하지 않으면 자신을 싫어한다고 생각한다. A군에게는 좋아함-싫어함의 두 가지 구분밖에 없기 때문이다. 많은 경우, 낯선 사람을 대할 때 좋지도 싫지도 않은 중립적인 감정을 지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렇게 흑백논리적인 이분법적 사고를 지닌 사람은 그러한 중립지대를 인정하지 않는다. 감정적 추리 감정적 추리 ( Emotional Reasoning 또는 임의적 추리 (Arbitrary Inference)는 충분한 근거 없이 막연히 느껴지는 감정에 근거하여 결론을 내리는 경 우디ㅏ. "내가 그렇게 느껴지는 걸 보니까 사실임에 틀림없다."는 식으로 생각하는 오류이다. ..
2023.07.14 -
3. 대인사고
이러한 결정과정에서 자신이 동원할 수 있는 대처 자원을 평가하고 가능한 대처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판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판단내용에 따라서 우리의 대인행동이 결정되는 것이다. 대인관계 상황에서 일어나는 대인사고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미묘하다. 그러나 우리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대인사고 과정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세가지 과정으로 구분한 것이다. 대인사고 과정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역동적 과정이지만, 의미추론과정, 의미평가과정, 대처결정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대인감정과 대인행동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대처결정 과정은 대인 상황에서 자신이 어떻게 행동하여 대처할 것인가를 판단하고 결정하는 심리적 과정이다. 이러한 결정과정에서 자신이 동원할 수 있는 대처자원을 평가하고 가능한 대..
2023.07.13 -
3) 우발적 귀인 ( Depressogenic Attribution )
1) 우발적 귀인 ( Depressogenic Attribution ) 이는 방어적 귀인과 반대되는 방향의 귀인방식이다. 예를 들어, 성적이 나쁘게 나온 과목에 대해서는 나의 지적인 능력이 부족해서라고 내부적으로 귀인하고 성적이 잘 나온 과목에 대해서는 어쩌다 운이 좋아서 라고 외부적으로 귀인하는 방식을 말한다. 우리는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사건에 대해서 그 원인을 생각하게 된다. 그 경우, 어떤 방향으로 귀인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감정과 행동이 달라진다. 어떤 사람은 자신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서 방어적 귀인을 습관적으로 하는 반면, 어떤 사람은 우울유발적 귀인을 하여 자신의 열등감을 키우고 우울한 감정을 지속적으로 지니게 된다. 이렇게 인간관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의 원인을 편향되게 ..
2023.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