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H(79)
-
1) 얼굴표정
셋째, 머리모양, 옷차림새, 장신구, 화장, 향수와 같은 외모의 치장을 통해 많은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넷째, 공간의 사용 역시 여러 가지 의미를 전달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상대방과의 공간적 근접도 및 거리나 상대방을 대하는 방향 등의 공간적 요인도 중요한 소통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만남의 장소, 상황, 분위기 등의 환경적 요인을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대인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말의 강약, 완급, 음색, 말하는 방식 등 언어적 의미가 없는 음성적 행동도 의미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는데, 이를 부언어 ( Paralinguistics ) 라고 한다. 1) 얼굴표정 얼굴표정은 인간이 감정을 표현하는 주된 비언어적 수단이다. 우리는 얼굴에 웃음을 지어 상대방에 대한 호의나 만족감을 표현하..
2023.04.02 -
06_ 대인기술
06_ 대인 기술 : 자신이 원하는 바를 원만하게 상호교환하는 대인 기술 1. 대인 기술이란 무엇인가? 인간관계는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는 외현적인 행동의 상호교환으로 이루어진다. 앞 장에서 살펴본 대인 동기나 대인 신념은 구체적 행동을 통해 상대방에게 표출된다. 그런데 사람마다 타인에게 호감을 주고 자신이 원하는 바를 전달하는 행동적 기술은 다르다. 즉, 사람마다 사람을 사귀는 기술이 다르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세련된 사교적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어떤 사람은 타인과 사귀고 싶어도 미숙한 행동 때문에 실패한다. 인간관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사교적 능력을 대인 기술 (interpersonal skill) 이라고 한다. 즉, 대인 기술은 ..
2023.04.01 -
서울 상담심리대학 입학일정 안내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23.03.30 -
3) 경직된 대인 신념
3) 경직된 대인 신념 인간관계의 부적응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경직된 대인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대인 신념의 경직성이란 당위적이고 절대주의적이며 완벽주의적이고 융통성이 없는 완고함을 의미한다. ELLIS 나 BECK 같은 심리 치료자들은 부적응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해야 한다." 또는 "-해서는 안 된다. 당위적 명제 형태의 경직된 신념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인간관계는 항상 따뜻하고 신뢰하는 것이어야만 한다. 인간은 절대로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사랑은 열정적이어야만 한다. 나는 항상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아야만 한다. 다른 사람이 나를 미워해서는 안 된다." 등의 신념이다. 이러한 신념은 때로 바람직하고 희망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현실 속에서 실현되기 어려운 ..
2023.03.30 -
6. 부적응적 대인신념
6. 부적응적 대인 신념 일상생활에서 부적응을 나타내는 사람들은 비현실적인 내용의 완고한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Beck,1976; 1958, 1962) 특히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을 나타내는 사람들은 원만하고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방해하는 여러 가지 부적응적인 대인 신념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부적응적인 대인 신념의 특성을 살펴보기로 하자. 1) 부정적인 대인 신념 부적응적 인간관계를 나타내는 사람 중에는 부정적인 대인 신념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L군의 사례에서 L군은 자기 외모에 대한 부정적 생각과 더불어 여성에 대한 부정적 믿음이 이성 관계를 가로막고 있다. 이처럼 원활한 인간관계를 저해하는 부정적인 대인 신념은 매우 다양하다. [ 부적응적인 대인 신념 사례 ] 공과대학 3학년인 L군은..
2023.03.29 -
5. 자기개념과 타인개념의 관계
'사람은 잘 변해서 믿을 수가 없다.' '모든 사람은 적대적이며 나를 이용하려고 한다.' 라는 신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신념은 과잉일반화된 편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람들 중에는 그러한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많다. 또한 우리가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상대방이 그렇게 행동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게 행동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대인신념의 자기강화적 속성 ] 인간의 삶에 있어서 신념은 매우 중요하다. 신념은 과거경험에 근거하여 어떤 대상의 속성에 대해 지니고 있는 믿음이다. 이러한 신념은 기본적으로 잘 변하지 않으며 스스로 옳음을 입증하려는 속성이 있어 점점 더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대인신념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대인 신념은 과거 경험의 결과인 동시에 타인의 행동을 ..
2023.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