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를위한대인관계심리학 #대인관계심리학 #인간관계심리학 #동반자 #친구관계 #이성관계 #가족관계#직장내인간관계#사회적거울#자기공개(16)
-
[인본주의 심리학]
[ 인본주의 심리학 ] 인본주의 심리학 (Humanistic Psychology) 는 정신분석적 입장과 행동주의적 입장을 비판하면서 1950~1960년대에 긍정적인 인간관에 근거하여 새롭게 대두되었으면서 제3대의 심리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인본주의 심리학을 주도한 인물 중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학자는 Carl Rogers (1920-1987)이다. 그는 임상심리학자로 일하면서 쌓은 심리로 경험에 근거하여 인간중심 치료(Peron Centred Therapy) 를 발전시켰는데, 현대의 심리치료사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사람으로 평가되고 있다. (Norcross & Prochaska, 1982) Rogers (1961, 1980)에 따르면, 인간은 근본적으로 자기실현은 추구하는 존재이다. 인..
2023.04.11 -
4) 설명하기
4) 설명하기우리는 인간관계 속에서 자신의 입장, 생각, 지식을 상대방에게 전달해야 하는 상황에 자주 부딪히게 된다. 예를 들어, 자신이 처한 상황을 상대방에게 납득시켜야 하는 경우,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견을 이해시키고 설득시키는 경우,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여러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경우와 같이 자기 생각을 전달해야 하는 상황이 많다. 이렇듯,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설명하는 일은 중요한 대인 기술의 하나이다. 설명하기 (Explaining) 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정보를 상대방에게 제공하고 공유하기 위한 중요한 의사소통 기술이다. 이뿐만 아니라, 설명하기는 어떤 현상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자신의 지식, 이해, 의견, 태도, 가치를 표명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자신이 소유한 정보나 의견을..
2023.04.08 -
5) 공간활용
이러한 영역 안으로 타인이 들어오면 불편감과 위협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공원 벤치의 경우, 낯선 사람 옆에 앉을 때는 각자의 개인적 공간을 침범하지 않기 위해 적당한 거리에 떨어져 앉는다. 그러나 친한 사람에게는 이러한 영역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허용한다. Hall (1966) 에 따르면, 사람들이 주위 공간을 자신을 중심으로 친밀역 (0~60cm), 개인역 (60~120cm), 사회역 (120~330cm), 공공역 (330cm 이상) 으로 나누고 매우 친밀한 사람은 친밀역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허용한다고 한다. 이렇듯, 물리적 거리는 상대방에 대한 친밀감을 표현하는 주요한 공간적 수단이다. 이러한 공간 행동은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아랍인과 남미인들은 매우 가까이서 대화하는 반면, ..
2023.04.05 -
3) 신체언어 (Body Language)
우리는 대화하는 동안 손, 팔, 머리 몸통을 끊임없이 움직인다. 이러한 몸의 움직임을 통해 우리는 많은 것을 표현하고 전달한다. 몸동작을 통해 의사를 표현하는 제스처는 신체언어 (Body Language)의 주요한 범주이다. 우리는 자신의 이야기를 강조할 때는 손을 번쩍 들거나 주먹을 불끈 쥐어 들고, 상대방의 이야기를 반대하거나 중단시킬 때는 손을 내젓기도 한다. 또한 상대방의 의견에 대해서 고개를 끄덕여서 동의를 표현하기도 하고, 고개를 가로저어 반대를 뜻하기도 한다. 물건의 형상이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손과 팔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몸의 움직임을 적절히 잘 사용하는 것은 말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하거나 강렬하게 만드는 기능을 지닌다. 훌륭한 연설가나 웅변가는 대부분 적절하고 강력한 제스쳐..
2023.04.04 -
1) 얼굴표정
셋째, 머리모양, 옷차림새, 장신구, 화장, 향수와 같은 외모의 치장을 통해 많은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넷째, 공간의 사용 역시 여러 가지 의미를 전달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상대방과의 공간적 근접도 및 거리나 상대방을 대하는 방향 등의 공간적 요인도 중요한 소통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만남의 장소, 상황, 분위기 등의 환경적 요인을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대인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말의 강약, 완급, 음색, 말하는 방식 등 언어적 의미가 없는 음성적 행동도 의미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는데, 이를 부언어 ( Paralinguistics ) 라고 한다. 1) 얼굴표정 얼굴표정은 인간이 감정을 표현하는 주된 비언어적 수단이다. 우리는 얼굴에 웃음을 지어 상대방에 대한 호의나 만족감을 표현하..
2023.04.02 -
06_ 대인기술
06_ 대인 기술 : 자신이 원하는 바를 원만하게 상호교환하는 대인 기술 1. 대인 기술이란 무엇인가? 인간관계는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는 외현적인 행동의 상호교환으로 이루어진다. 앞 장에서 살펴본 대인 동기나 대인 신념은 구체적 행동을 통해 상대방에게 표출된다. 그런데 사람마다 타인에게 호감을 주고 자신이 원하는 바를 전달하는 행동적 기술은 다르다. 즉, 사람마다 사람을 사귀는 기술이 다르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세련된 사교적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어떤 사람은 타인과 사귀고 싶어도 미숙한 행동 때문에 실패한다. 인간관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사교적 능력을 대인 기술 (interpersonal skill) 이라고 한다. 즉, 대인 기술은 ..
202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