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를위한대인관계심리학 #대인관계심리학 #인간관계심리학 #동반자 #친구관계 #이성관계 #가족관계#직장내인간관계#사회적거울#자기공개(16)
-
5) 부적응적 대인동기의 극복
5) 부적응적 대인 동기의 극복 부적응적 대인동기는 개인에게 좌절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도 불편감을 유발하여 원만한 인간관계를 저해하게 된다. 과도하고 부적절한 대인 동기로 인해 생겨나는 인간관계의 문제는 대인 동기의 변화를 통해서 극복될 수 있다. 그렇다면 부적절한 대인 동기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첫째 방법은 현실의 대인관계 속에서 대인동기를 충분히 충족시키는 것이다. 배가 고플 때 충분한 음식 섭취를 통해서 배고픔이 가셔지듯이, 대인 동기를 만족시키면 그러한 동기는 부적절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흔히 특정한 대인 동기가 강한 사람은 현실 생활 속에서 그러한 동기를 충족시킬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에 부모로부터 충분한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한 경우가 많..
2023.03.20 -
4. 부적응적 대인 동기
4. 부적응적 대인 동기 J군의 경우처럼 부적응적인 인간관계를 나타내는 사람 중에는 대인동기에 문제를 지니는 경우가 많다. 개인이 지닌 대인 동기의 내용과 강도 그리고 그러한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 방식이 부적절할 때, 흔히 부적응적 인간관계가 나타나게 된다. 대인관계에서 부적응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나타내는 대인 동기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극단적인 대인 동기 대인 동기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한 경우에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한 대인관계 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은 그러한 동기의 충족을 위해 과도한 노력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생활의 다른 측면이 희생되거나 타인에게 부담을 주게 됨으로써 부적응적 인간관계를 나타내게 된다. 앞의 사례에서 소개한 J군의 경우 대..
2023.03.18 -
3) 부모와의 애착경험
[정신분석학의 인간론] Sigmund Freud 에 의해 시작된 정신분석 학설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이 자각하지 못하는 무의식적 동기에 의해서 행동한다. 인간을 움직이는 근원적인 무의식적 동기는 성적인 내용을 지닌다.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성적인 동기는 무의식적인 과정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그럴듯한 내용으로 변형되어 자각된다. Freud 는 인간의 삶을 성적인 욕구를 분출하려는 육체적 욕망과 이를 억제하려는 사회문화적 규범 간의 갈등으로 보았다. 그는 성적인 원초적 욕구를 충동적으로 발산하려고 하는 심리적 측면을 원초아 (ID) 라고 불렀으며, 도덕적인 사회문화적 규범이 내면화된 심리적 측면을 초자아 (Super Ego) 라고 불렀다. 아울러 원초아와 초자아의 요구를 절충하며 환경의 현실적..
2023.03.15 -
2) 욕구의 충족 경험
2) 욕구의 충족 경험 인간의 욕구는 충족 경험에 따라 욕구의 강도가 달라진다. 갈증은 물은 마시게 되면 사라지듯이, 대인동기도 충분히 충족되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물을 마시지 못하면 갈증이 더욱 심해지듯이, 오랜 기간 충족되지 못한 대인동기는 더욱 강해져서 욕구충족을 위한 행동을 유발하게 된다. 대부분의 심리학자는 개인의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의 강도는 그러한 욕구의 충족 여부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정신분석을 창시한 Freud는 인간의 모든 행동을 내면적 욕구의 발산과정으로 보았다. 인간의 모든 욕구는 발산되어 해소되기를 추구한다. 그러나 발산되지 못한 욕구는 내면적으로 축적되어 끊임없이 발산의 기회를 찾는다. Freud에 따르면, 인간의 성적인 욕구가 발현되는 아동기의 경험이 성격특성을 ..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