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H(79)
-
3) 인간관계 미숙형
3) 인간관계 미숙형 인간관계 미숙형은 대인관계 기술 또는 사교적 기술이 부족하여 인간관계가 원활하지 못한 사람들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인간관계 회피형이나 피상형과 달리, 다른 사람과 친밀하고 깊이 있는 인간관계를 맺고자 하는 상당한 욕구를 지니며 사람들에게 접근한다. 그러나 친밀한 인간관계는 이러한 욕구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다른 사람이 호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자신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잘 읽고 그에 알맞게 대응하는 사교적 기술이 원만하고 깊이 있는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이렇듯 인간관계에 필요한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기술을 대인관계 기술이라고 하며 이에 대해서는 제6장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인간관계 미숙형은 이러한 대인관계 기술..
2023.02.13 -
2) 인간관계 피상형
2) 인간관계 피상형 인간관계 피상형은 깊이 있고 의미 있는 인간관계를 맺지 못하고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맺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겉으로 보기에 넓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있는 듯이 보일 수 있다. 때로는 지나칠 만큼 교제 범위나 활동 범위가 넓으며 다양한 부류의 많은 사람과 알고 지내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자신의 속마음을 털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한 친구가 없는 사람들이다. 즉, 아는 사람은 많지만 진정한 친구가 없는 사람들이다. 인간관계 피상형은 내면적으로 고독한 사람이다. 평소에는 커다란 갈등 없이 지내지만 어려움이 생기면 속마음을 털어놓고 자신의 고민이나 괴로움을 같이 나눌 사람이 없기 때문에 심한 외로움과 고독감에 빠져들게 된다. ' 인간관계 피상형은 다른 사람과 깊이 있고 밀착된 관계를 ..
2023.02.13 -
2. 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인간관계 경시형은 인간관계가 삶에 있어 중요하지 않으며 실상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달리 말하면, 인간관계 보다는 학문이나 공부, 예술적 작업, 종교활동이 중요하다고 믿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인간관계에 시간을 들여 신경을 쓰는 것이 헛된 낭비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인간관계 경시형은 평소에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다. 오히려 고독을 즐긴다. 그러나 이러한 기간이 장기화하면 이유 없는 권태감이나 무력감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사는 것이 재미가 없고 활기를 잃게 된다. 삶에 대해서 허무주의나 비관주의로 흐르는 경향이 생겨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애정이 필요하며 인간관계 속에서 애정을 공급받지 못하면 삶의 의욕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이런 사람 중에는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업적과 작품을 내놓는 경우도 있다..
2023.02.13 -
03_ 부정응적 인간관계
03_ 부적응적 인간관계 인간관계 부적응의 두 번째 기준은 사회문화적 규범으로부터의 일탈이다. 모든 사회와 집단에는 구성원의 행동규범이 외현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간관계 부적응의 두 번째 기준은 사회 문화적 규범으로부터의 일탈이다. 모든 사회와 집단에는 구성원의 행동규범이 외현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느 사회든 남녀노소와 상황에 따라서 상대방에게 지켜야 할 여러 가지 행동 규범이 있다. 특히 유교적 예의범절이 중요시되는 한국 사회에서는 연소자와 연장자, 하급자와 상급자, 여자와 남자는 서로 사용하는 호칭, 인사법, 말투와 행동에 대한 행동규범이 정교하게 발달하여 있다. 그럴 뿐만 아니라 모든 사회에는 상황에 알맞은 적절한 행동양식이 있다. 축..
2023.02.09 -
자가진단 : 조해리 '마음의 창'
첫째, 개방형으로서 공개적 영역이 가장 넓은 사람. 개방형은 대체로 인간관계가 원만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적절하게 자기표현을 잘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말도 잘 경청할 줄 아는 사람들로서 다른 사람에게 호감과 친밀감을 주게 되어 인기가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공개적 영역이 넓은 사람은 말이 많고 주책스러운 경박한 사람으로 비칠 수도 있다. 둘째, 맹목의 영역이 가장 넓은 주장형. 이들은 자신의 기분이나 의견을 잘 표현하며 나름대로 자신감을 지닌 솔직하고 시원시원한 사람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다른 사람의 반응에 무관심하거나 둔감하여 때로는 독단적이며 독선적인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 주장형은 다른 사람의 말에 좀 더 진지하게 귀를 기울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신중형으로서 숨겨진 영역이 가장 ..
2023.02.08 -
4. 인생의 네 가지 동반자 2
작업적 동반자와의 관계는 업무 중심적 인간관계이지만, 사교적 동반자와의 관계는 애정 중심적 인간관계라고 할 수 있다. 작업적 동반자는 추구하는 목표가 달성되면 관계가 해체되지만, 사교적 동반자는 서로의 개인적 친밀감이 유지되는 한 관계가 지속된다. 이러한 네 가지 동반자는 우리 삶의 주요한 인간관계 영역을 나타낸다. 이러한 네 가지 동반자와 친밀하고 효율적인 관계를 형성할 때 우리는 삶의 만족감과 행복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이들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동반자가 결여되었거나 그 관계가 원만하지 못할 때, 우리는 고독과 좌절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인간관계의 주요한 네 영역인 친구 관계, 이성 관계, 가족관계 그리고 직장에서의 인간관계는 이 책의 제3부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조해리의 '마..
2023.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