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_ 부정응적 인간관계

2023. 2. 9. 04:15YOUTH

728x90
반응형

03_ 부적응적 인간관계


인간관계 부적응의 두 번째 기준은 사회문화적 규범으로부터의 일탈이다.
모든 사회와 집단에는 구성원의 행동규범이 외현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간관계 부적응의 두 번째 기준은 사회 문화적 규범으로부터의 일탈이다.
모든 사회와 집단에는 구성원의 행동규범이 외현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느 사회든 남녀노소와 상황에 따라서 상대방에게 지켜야 할 여러 가지 행동 규범이 있다. 특히 유교적 예의범절이 중요시되는 한국 사회에서는 연소자와 연장자, 하급자와 상급자, 여자와 남자는 서로 사용하는 호칭, 인사법, 말투와 행동에 대한 행동규범이 정교하게 발달하여 있다.

그럴 뿐만 아니라 모든 사회에는 상황에 알맞은 적절한 행동양식이 있다. 축하를 해야 할 때, 애도를 표해야 할 때, 부탁이나 요청할 때, 식당에서 음식을 주문할 때, 낯선 사람을 대할 때와 같이 다양한 상황에서 사회구성원들이 행동하는 행동양식이 있다.

이렇듯 인간관계의 대상과 상황에 따라 지켜야 할 행동규범과 행동양식에 대해서 무지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사람은 주변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없다. 예를 들어, 연장자에게 한 손으로 물건을 건네거나, 상사의 심각한 지시를 받으면서 정면으로 입을 크게 벌려 하품을 하는 것은 예의가 없는 행동이다.

또한 가까운 직장동료가 슬픈 일을 당했을 때 위로의 말을 건넬 줄 모르는 사람이나 낯선 사람을 처음 만나 개인의 성생활에 관해 묻는 것은 상황에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을 하는 사람은 스스로 불편감을 느끼지 못하지만 주변 사람들을 불편하고 불쾌하게 하며, 그들로부터 무례하고 이상한 사람이라는 평가받게 됨으로써 원활하고 친밀한 인간관계를 맺기 어렵다.

부적응의 세 번째 기준은 인간관계의 역기능이다. 인간관계의 역기능이라 함은 개인의 사회적 적응에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인간관계라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부하직원을 거느리고 일하는 상급자가 지나치게 권위적이고 공격적이어서 부하직원의 사기를 저하하고 반발을 야기하여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또는 여러 사람이 함께 협동적인 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한 사람이 지나치게 지배적이거나 또는 비판적이어서 다른 사람들을 괴롭게 하고 일의 진행을 더디게 하는 경우이다. 그 사람은 스스로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그런 행동을 하지만 다른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고 집단 활동의 효율성을 떨어뜨려 결과적으로 자신에게도 손해를 자초하게 된다.

인간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불행은 이러한 인간관계의 부적응으로부터 파생되는 경우가 많다. 거대하고 다원화된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다양한 사회에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면서 부딪히는 인간관계에 적절히 적응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래서 많은 현대인은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상담가나 심리치료자에게 전문적 도움을 구하는 내담자들이 호소하는 주된 문제는 이러한 인간관계의 문제가거나 이로부터 파생된 심리적 문제이 경우가 대부분이다.


2.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유형


인간관계에서 고통을 받고 부적응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문제는 매우 다양하다. 인간관계 부적응은 그 원인, 발생양상, 내용, 심리적 결과 등에 있어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개인의 인간관계 문제는 그 사람이 처한 주변 상황의 열악함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그 사람의 개인적인 성격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어떤 사람은 지속해서 장기간 반복되어 온 만성적인 인간관계 문제를 지니고 있지만, 다른 사람은 어려움 없이 살아오다가 인생의 특정한 시기에 갑자기 인간관계 문제에 봉착하기도 한다.

이렇듯, 부적응적인 인간관계의 문제는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저자의 상담 경험에 근거하여 부적응적인 인간관계를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 3-1] 에 분류되어 있듯이, 부적응적 인간관계는 크게 네 가지 유형, 즉 인간관계 회피형, 인간관계 피상형, 인간관계 미숙형, 인간관계 탐닉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좀 더 세분하면, 인간관계 회피형은 인간관계 경시형과 인간관계 불안형으로, 인간관계 피상형은 인간관계 실리형과 인간관계 유희형으로, 인간관계 미숙형은 인간관계 소외형과 인간관계 반목형으로, 인간관계 탐닉형은 인간관계 의존형과 인간관계 지배형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1) 인간관계 회피형

 

인간관계의 부적응을 경험하는 사람 중에는 인간관계를 회피하고 고립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사람들을 인간관계 회피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관계 회피형 중에는 인간관계에 대한 욕구와 동기가 적은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사람은 인간관계에 매우 소극적이어서 그 결과 거의 친구가 없거나 인간관계의 폭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인간관계 회피형은 달리 말하면, 인간관계 고립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사람은 혼자 있을 때 가장 편안하게 느낀다. 그래서 사람을 만나서 하는 일을 가능한 한 피하는 경향이 있다. 인간관계보다는 일, 특히 혼자 하는 일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유형에 속하는 사람들은 인간관계를 회피하는 심리적 이유에 따라 두 가지 하위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인간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인간관계 경시형과 인간관계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한 인간관계 불안형이 있다.

728x90
반응형

'YOU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인간관계 피상형  (0) 2023.02.13
2. 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0) 2023.02.13
자가진단 : 조해리 '마음의 창'  (0) 2023.02.08
4. 인생의 네 가지 동반자 2  (0) 2023.02.08
3. 의미 있는 타인  (0) 2023.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