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0. 27. 16:47ㆍYOUTH
이러한 표현행동의 방식은 문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젊은 세대는 기성세대에 비해 좀 더 적극적인 감정표현을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동양문화권의 사람들은 감정표현을 억제하는 반면, 서구 문화권에는 감정을 잘 드러내는 사람이 많다. 특히 한국 사회는 유교문화권으로서 감정표현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 아울러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간접적이고 우회적으로 표현하거나 때로는 거꾸로 표현하는 행동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자신의 감정을 소극적으로 표현하는 문화에서는 상대방의 감정과 의도를 판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상대방의 비언어적 행동이나 단서를 통해 의도를 파악하는 '속마음 읽기' 즉, '눈치' 가 발달하게 된다. (권석만, 1996b; 최상진, 1995) 불분명하고 모호한 소극적 표현은 흔히 상대방에게 그 의도가 잘못 판단되어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많다. 반면 적극적 행동은 지나칠 경우에 충동적이고 과장된 행동으로 나타나 상대방에게 부담이나 거부감을 줄 수도 있다. 상대방의 감정과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관계는 대인행동을 서로 주고받는 과정으로서,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반응으로 나의 대인행동을 나타내고 그에 대한 반응으로 상대방은 대인행동을 나타내게 된다. 이처럼 서로의 대인행동이 꼬리를 물고 연쇄적으로 교환되며 나타나는 과정이 인간관계이다. 서로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며 호의적인 행동을 주고받는 인간관계는 더욱 심화되는 반면, 서로 부정적인 감정과 적대적인 행동을 주고받는 인간관계는 갈등과 고통을 유발하여 결국 심리적 상처만 남기게 된다.
[대화의 언어행동 분석] 222p
우리가 대화를 할 때 교환하는 언어행동은 매우 다양하다. 다양한 의도나 내용을 담은 언어반응이 대화에서 오고 간다. 때로는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인 의도를 담은 말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부정적인 의도를 내포한 말을 하기도 한다. 때로는 주도적인 입장에서 대화에 임하기도 하고 때로는 수동적인 입장에서 대화를 따라가기도 한다. 언어 행동의 내용에 따라 대화에서 느끼는 감정과 만족도가 달라진다.
상담심리학자들은 효율적인 대화 방식을 연구하기 위해 상담 중 오고가는 언어 행동을 분류하여 분석한다. 언어행동을 분류하는 대표적 방법이 Penman 식 분류방법인데, 여기서는 모든 언어행동을 대인권력 (Power)과 대인관여(Involvement)라는 두 차원에 따라 분류한다. 대인권력은 대인관계에서의 영향력을 의미하며, 대인관여는 상대방에 대한 태도의 긍정성 및 부정성을 나타낸다. 이 분류방식은 모든 언어행동을 말하는 이의 의도에 초점을 맞추어 16개의 분류범주로 나눈다. (신희천, 1995; Penman, 1980). 각 분류범주의 주된 의도는 [8-2 언어행동의 분류범주와 그 정의] 와 같다.
거부, 통제, 주도, 공유 등의 반응은 대인권력이 높은 언어행동인 반면, 후퇴, 단념, 복종, 추종,의 반응은 대인권력이 낮은 언어행동이다. 거부, 반발, 회피, 후퇴 등은 부정적인 의사표현인 반면, 공유, 협력, 순종, 추종은 긍정적인 의사의 표현을 나타낸다. 우리가 대화 중에 상대방에 무심코 내뱉는 말들은 대인권력과 대인관여의 정도가 다르며, 상대방의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사람은 주도나 통제와 같은 대인권력이 강한 말을 자주 하는 경향이 있어서 상대방은 부담을 느끼고 저항이나 반발과 같은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반면, 어떤 사람은 요청이나 추종 같은 대인권력이 약한 반응을 자주 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주도, 통제, 거부와 같은 대인권력이 강한 반응을 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2. 긍정적인 대인감정과 대인행동
1) 기쁨 : 행복감과 환희
행복감(Happiness)와 환희(Joy)는 인간이 느끼는 가장 대표적인 긍정적 감정이다. 행복감과 환희는 원하는 목표가 달성되었거나 달성되어 가고 있다고 생각될 때 느끼는 감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긍정적 감정은 대인관계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다양한 상황에서 느낄 수 있다. 예를들어, 좋아하던 이성으로부터 사랑한다는 고백을 듣게 되었을 때.
'YOU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긍정적인 대인감정과 대인행동 (0) | 2024.02.28 |
---|---|
3) 대인행동의 원형구조모델 ( Circumplex Model ) (0) | 2023.08.03 |
3) 대인행동 (1) | 2023.08.01 |
1) 인간의 감정 (4) | 2023.07.31 |
1. 대인감정과 대인행동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