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인간관계 미숙형

2023. 2. 13. 03:28YOUTH

728x90
반응형

 

3) 인간관계 미숙형


인간관계 미숙형은 대인관계 기술 또는 사교적 기술이 부족하여 인간관계가 원활하지 못한 사람들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인간관계 회피형이나 피상형과 달리, 다른 사람과 친밀하고 깊이 있는 인간관계를 맺고자 하는 상당한 욕구를 지니며 사람들에게 접근한다. 그러나 친밀한 인간관계는 이러한 욕구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다른 사람이 호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자신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잘 읽고 그에 알맞게 대응하는 사교적 기술이 원만하고 깊이 있는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이렇듯 인간관계에 필요한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기술을 대인관계 기술이라고 하며 이에 대해서는 제6장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인간관계 미숙형은 이러한 대인관계 기술이 부족하고 미숙한 사람들이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접근하고 친밀한 관계를 맺기 위해 결과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맺는 데 실패하는 사람들이다. 흔히 이러한 유형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소외당하거나 빈번한 갈등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인간관계 미숙형은 대인관계 기술의 미숙으로 인해 나타나는 부적응문제의 양상에 따라 인간관계 소외형과 인간관계 반복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인간관계 소외형은 미숙한 대인관계 기술로 인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고 소외당하는 사람이다. 이들은 흔히 인간관계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보인다. 그러나 다른 사람에게 호감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불편하고 귀찮은 존재로 여겨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인간관계 소외형 파트에서는 다소 의역한 부분이 있습니다.
인간관계 소외형이 몇 가지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 중에는 TPO에 적절하지 않은 자신의 차림새나 체취로 인한 (독특한 냄새 등)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줄 수 있다.
둘째, 우리 사회의 인간관계에서 지켜야 할 예의나 규범에 대해서 무지하고 그와 어긋난 행동을 자주 한다. (약속 시간을 지키지 않거나, 초면 또는 해당하는 상황에 실례되는 질문을 하는 경우 등) 따라서 이러한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무례하고 버릇없는 사람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상사나 선배에게 인사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존재 언어를 사용 않는 경우, 부적절한 농담을 한다거나 초면에 무례하고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그 예이다.)

셋째
, 인간관계 소외형에 속하는 사람 중에 자기중심적이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달리 말하면 이러한 사람들은 타인의 입장에 서서 역지사지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진지하게 이야기하는 상대방의 말을 제대로 듣지 않고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린다든가 이야기의 주제를 일방적으로 바꾸기도 한다. 상대방이 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무리한 부탁을 하거나 강요하는 행동을 한다. 또는 약속을 하고도 이를 잘 지키지 않고,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해 사과할 줄 모르는 무책한 사람으로 보일 수 있다.


넷째, 이들은 상황에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여러 사람이 중요한 토의하는 모임에서 엉뚱한 주제로 장황하게 이야기하거나 상황에 걸맞지 않은 행동이나 농담하여 분위기를 어색하게 만들어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한다. 따라서 주변 사람들로부터 이상한 사람이라는 평을 듣게 된다.

마지막으로, 인간관계 소외형의 주요한 특성은 앞에서 열거한 여러 가지 부적절하고 무례한 행동을 악의적 의도를 가지고 행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또한 이들은 자기 행동이 타인에게 어떤 불쾌감과 불편함을 주는지를 잘 모른다. 다른 사람과 친밀하게 지내고 싶은 마음이 앞설 뿐 적절한 행동이 뒤따르지 않는 미숙하고 순박한 사람인 경우가 많다.

인간관계 소외형은 이러한 이유로 인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고 소외당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은 다른 사람들과 격렬한 갈등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주변 사람들은 이러한 사람을 귀찮고 불편하기 때문에 멀리할 뿐 특별히 미워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다.

인간관계 반목형은 여러 인간관계에서 다툼과 대립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인간관계 소외형과는 달리, 타인에게 호감을 주고 때로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대방의 언행에 쉽게 감정이 상하고 또 상대방의 기분을 자주 상하게 함으로써 인간관계에서 반목을 자주 경험하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주변에는 친구도 있지만 서로 미워하는 경쟁자나 적을 다수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다른 사람들과의 밀접한 인간관계에는 필연적으로 다소의 갈등과 대립이 있기 마련이다.


IN MY OPINION


다른 사람들과의 인간관계에서 마주하는 여러 문제점 중에서도
사회 초년기의 대인관계 문제에는 주로 사회성의 부족한 경우가 많다.


말 그대로 익숙하지 않은 여러 상황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좋은지 어딘가에서 배우거나 습득한 경험이 부족하여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갈등 관계인 것이다. 물론 삶의 순간순간마다 모든 것을 이해하고 인내해 줄 수 있는 귀인을 만나거나 수용 받을 수 있는 순간이 있다면 좋겠지만, 언제나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왜 이러한 갈등을 빚게 되었는가, 본인에게 부족한 점이 있었는지 근원을 먼저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후 타인의 사례에서 배운다거나 주변인 중에서 좋은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유심히 관찰하고, 적용한다면 보다 나은 대인관계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1. 나를 알자
2. 나를 분석하자
3. 타인의 장점을 적용하자.

728x90
반응형

'YOU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인간관계 의존형  (0) 2023.02.16
4) 인간관계 반목형  (0) 2023.02.14
2) 인간관계 피상형  (0) 2023.02.13
2. 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0) 2023.02.13
03_ 부정응적 인간관계  (0) 2023.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