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이를위한대인관계심리학(3)
-
2. 부적응적 인간관계 유형
인간관계 경시형은 인간관계가 삶에 있어 중요하지 않으며 실상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달리 말하면, 인간관계 보다는 학문이나 공부, 예술적 작업, 종교활동이 중요하다고 믿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인간관계에 시간을 들여 신경을 쓰는 것이 헛된 낭비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인간관계 경시형은 평소에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다. 오히려 고독을 즐긴다. 그러나 이러한 기간이 장기화하면 이유 없는 권태감이나 무력감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사는 것이 재미가 없고 활기를 잃게 된다. 삶에 대해서 허무주의나 비관주의로 흐르는 경향이 생겨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애정이 필요하며 인간관계 속에서 애정을 공급받지 못하면 삶의 의욕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이런 사람 중에는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업적과 작품을 내놓는 경우도 있다..
2023.02.13 -
4. 인생의 네 가지 동반자 2
작업적 동반자와의 관계는 업무 중심적 인간관계이지만, 사교적 동반자와의 관계는 애정 중심적 인간관계라고 할 수 있다. 작업적 동반자는 추구하는 목표가 달성되면 관계가 해체되지만, 사교적 동반자는 서로의 개인적 친밀감이 유지되는 한 관계가 지속된다. 이러한 네 가지 동반자는 우리 삶의 주요한 인간관계 영역을 나타낸다. 이러한 네 가지 동반자와 친밀하고 효율적인 관계를 형성할 때 우리는 삶의 만족감과 행복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이들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동반자가 결여되었거나 그 관계가 원만하지 못할 때, 우리는 고독과 좌절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인간관계의 주요한 네 영역인 친구 관계, 이성 관계, 가족관계 그리고 직장에서의 인간관계는 이 책의 제3부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조해리의 '마..
2023.02.08 -
5) 청년기 전기 - 대학생의 인간관계
5) 청년기 전기 - 대학생의 인간관계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대학에 진학하거나 직장으로 진출하게 된다. 이 시기는 청년기에 해당한다. 대학에 진학하게 되면 인간관계의 양상이 현저하게 달라진다. 첫째, 인간관계의 폭이 넓어진다. 일반적으로 청소년기는 인간관계가 가장 활발한 시기인데,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 고등학교 시기는 학생들의 시간과 노력이 입시 준비에 집중되기 때문에 대학에 진학하고 나서야 비로소 억눌렸던 인간관계의 욕구가 활발한 인간관계로 나타나게 된다. 고등학교 시절의 제한된 인간관계에 비해 대학에서는 학과 동아리, 동문회, 동향회 등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많은 사람과의 활발한 교우관계가 이루어진다. 둘째, 인간관계가 이루어지는 상황에도 현저한 변화가 일어난다. 중 고등학교에서는 ..
2023.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