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 7. 02:19ㆍYOUTH
첫째, A군은 거절당한 원인을 자신의 부족함 때문이라고 내부적 귀인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자신의 특성 중에서도 준수하지 못한 외모나 우수하지 못한 능력 또는 활달하지 못한 성격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외모, 능력, 성격은 개인의 내부적 특성인 동시에 지속적인 특성이므로, 이 경우 A군은 내부적-안정적 귀인을 한 것이다.
둘째, A군은 자신의 데이트 신청 방식이 부적절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B양에게 데이트를 신청할 때의 말투나 행동에 간곡함이나 정성이 부족해서 거절당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트 신청 행동은 A군이 노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내부적 요인이므로, 이 경우는 내부적- 불안정적 귀인을 한 것이다.
셋째, A군은 자신이 거절당한 이유를 B양의 오만하고 쌀쌀한 성격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자신보다 타인의 성격에 원인을 돌리는 외부적-안정적 귀인을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A군은 데이트 신청을 할 당시 B양의 기분이 좋지 않았다거나 주변에 친구가 있었기 때문에 거절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외부적-불안정적 귀인을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듯, 데이트 신청이 거절당한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서 그 원인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돌릴 수 있다. 또 어떤 '원인에 귀인했느냐에 따라 결과적인 감정과 행동이 달라진다. 이 경우, 거절당한 이유를 자신의 열등한 외모나 성격과 같이 내적-안정적인 귀인을 한 경우에 A군은 자신에 대한 열등감을 느끼고 기분이 상당히 우울해져 위축된 행동을 보일 수 있다.
반면, 거절당한 원인이 B양의 기분 상태나 주변에 있었던 친구 때문이라고 외부적-불안정적 귀인을 한 경우에는 A군의 기분이 그다지 상하지 않을 것이다. 또 B양의 쌀쌀하고 거만한 성격 때문이라고 외부적- 안정적 귀인을 한 경우에 A군은 B양에 대해서 분노 감정을 느끼고 공격적인 행동을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대인관계에서 일어난 사건의 원인을 어떤 방향으로 귀인 하느냐에 따라 감정과 행동이 달라진다.
2) 귀인의 일반적 경향
사람들은 자신이나 타인의 행동에 대해 귀인할 때 몇 가지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귀인 경향 중에는 현실을 왜곡하는 편향적인 것도 있다.
첫째, 사람들은 행동의 원인을 외부적 요인보다는 내부적 요인에 귀인 하는 경향이 강하다.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남의 행동이든 자기 행동이든 상황적 요인에 귀인 하기 보다는 행동한 사람의 특성이나 동기에 귀인 하려는 경향이 있다. 인간이 특정한 행동을 하는 이유는 그가 처한 상황적 요인보다 그 사람의 성격이나 신념과 같은 내부적 요인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습관이 우리에게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기 행동에 대한 귀인과 타인의 행동에 대한 귀인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사람들은 대체로 외부적 요인보다 내부적 요인에 귀인 하는 경향이 있는데, 자기 행동에 대해서는 좀 더 외부적 요인에 귀인 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 타인의 행동에 비하여 자기 행동을 외부적 요인에 귀인 하려는 경향은 그 행동이 옳지 못한 것이어서 책임을 벗어나고 싶을 경우에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셋째, 사람들은 타인의 행동이 외부 압력에 의해 일어났다고 보게 되면 내부적 요인의 역할을 삭감하는 경향이 있다.
행동에 작용하는 외부적 요인이 강할수록 행동의 원인을 상대적으로 내부적 요인에 덜 귀인 하는 현상을 할인 효과 ( Discounting Effect ) 라고 부른다. 어떤 행동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행동에 작용한 외부적 압력요인을 참작하여 내부적 요인의 영향력을 깎아내린다는 뜻에서 할인 효과라고 한 것이다.
이런 현상은 Kelly 가 제안한 할인원리 ( Discounting Principle) 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 원리는 어떤 행동에 공헌하는 요인이 많아지면 원인의 책임이 이러한 요인들에 분산된다는 생각이다. 즉, 외부적 요인이 없으면 행동의 책임이 전적으로 내부적 요인에 돌아가지만, 외부적 요인이 개입했다는 증거가 있으면 행동의 책임은 이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에 분산되어 내부적 요인에 의한 책임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차재호, 1995).
마지막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행한 행동의 결과가 좋으면 내부적 귀인을 하는 반면, 행동의 결과가 좋지 않으면 외부적 귀인을 하는 경향이 있다. '잘 되면 내탓, 못 되면 남탓 ' 이라는 말이 이러한 경향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귀인 경향을 방어적 귀인 (Defensive Attribution ) 이라고 한다.
방어적 귀인은 자기지각에 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자신의 자존심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러한 방어적 귀인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흔히 관찰될 수 있다. 하는 일이 잘되지 않을 때, 우리는 부모 탓, 조상 탓, 세상 탓으로 돌리기도 하고 심지어는 사주 탓, 조상의 묏자리 탓 과 같은 미신적 귀인을 하기도 한다.
3) 우울 우발적 귀인
귀인방식은 인간의 감정과 행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자신이 한 일의 실패나 성공에 대해서 어떤 방식의 귀인을 했느냐에 따라 결과적인 감정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우울증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은 우울한 사람들이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내부적, 안정적, 전반적 귀인을 하고 긍정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외부적, 불안정적, 특수적 귀인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우울 우발적 귀인 ( Depressogenic Attribution ) 이라고 한다.
IN MY OPINION
선택에 있어 여러종류의 귀인방법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욱 면밀하고 자세히 살펴본 후
업그레이드하는 점이 필요하다.
'YOU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대인사고 (0) | 2023.07.13 |
---|---|
3) 우발적 귀인 ( Depressogenic Attribution ) (0) | 2023.07.09 |
3) 인상형성의 경향성 (0) | 2023.05.13 |
2) 인상형성의 경향성 (5) | 2023.04.24 |
1) 인상 형성의 단서 (0)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