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2)
-
느린마을 크리에이터!
https://m.homesool.com/board/view.php?bdId=event&sno=22&utm_source=FBIG&utm_medium=DA&utm_campaign=2308_%ED%81%AC%EB%A6%AC%EC%97%90%EC%9D%B4%ED%84%B0%EB%AA%A8%EC%A7%91&utm_content=1934&utm_term=%EA%B8%B0%EB%B3%B8%20%EC%9D%B4%EB%A6%84%20-%20%ED%8A%B8%EB%9E%98%ED%94%BD&fbclid=PAAabhM3Pbp59Y6jKeAE1rel3vR089wu3eSWRaljnrzG1JzItenOXGIeREH7E_aem_AQzV2_U-SoH3M7aG9LCrbfnlMkCh0tnZfjKSZzHHjlw0ZEApgaR99hnCX..
2023.08.12 -
잠자리프렌즈 서포터즈 안내
https://www.alljam.co.kr/friends/apply
2023.08.10 -
3) 대인행동의 원형구조모델 ( Circumplex Model )
대인행동의 원형구조 모델 ( Circumplex Model ) 대인행동은 크게 상황적 요인과 성격적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개인이 특정한 상황에서 나타내는 행동은 상황적 촉발 자극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예컨대, 무례한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는 공격적인 행동을 나타내게 되지만, 정중하게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에게는 호의적인 행동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대인행동은 개인이 지속해서 나타내는 성격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없다. 그러나 개인은 다양한 상황에서 비교적 일관성 있는 대인행동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무례한 행동을 한 사람에게는 공격적인 행동을 나타내지만, 정중하게 도움을 청하는 사람에게는 호의적인 행동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대인행동은 개인이 지속해서 나타내는 성격적 특..
2023.08.03 -
3) 대인행동
3) 대인행동 대인행동은 인간관계에서 개인이 겉으로 드러내는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을 말한다. 대인감정은 신체적 생리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으로 표출되지만 얼굴표정을 통해서 가장 즉각적으로 표현된다. 우리는 주로 얼굴표정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고 상대방의 감정상태를 포착한다. 특정한 감정상태와 얼굴표정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어떤 감정은 문화의 차이에 상관없이 보편적인 얼굴표정으로 표현되는 반면, 어떤 감정은 문화마다 차이를 보인다. Ekman(1984)에 따르면, 공포, 놀람, 분노, 혐오, 슬픔, 기쁨 등의 정서는 여러 문화권에 걸쳐 얼굴표정이 매우 유사한 보편성을 나타낸다고 한다. 그러나 수치, 관심, 경멸 등의 감정은 그러한 보편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Ekman은 감정과 얼굴근육 간에는 신경회..
2023.08.01 -
1) 인간의 감정
인간이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서를 몇 개의 차원 상에 체계적으로 분류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었다. 그러한 노력을 기울인 사람 중의 하나인 Russell (1980) 은 28개의 정서단어들을 사람들에게 유사성에 근거하여 평정하게 하였다. 다차원기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서는 크게 2차원, 즉 유쾌-불쾌 차원과 각성 - 비각성 차원 상에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양한 정서 단어들이 2차원 상에 공간적으로 배열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2) 대인감정 인간의 경우, 대부분의 감정은 인간관계 속에서 체험된다. 인간의 감정은 진화과정에서 형성한 생물학적 기반을 지니고 있지만 주로 인지적 평가의 결과로 발생한다. 이런 점에서 대인감정은 대인 사고..
2023.07.31 -
1. 대인감정과 대인행동
소망적 사고 (Wishful Thinking)는 기도나 기원을 통해서 갈등이 해결되기를 바라고 희망함으로써 갈등상황에 대처하는 방식이다. 흔히 종교적 절대자의 도움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고 기원하거나 자신의 기원이 현실을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미신적인 행동이 그 예시이다. 대처방식은 그 유형에 따라 갈등상황을 해결하는 효율성이 다르다. 또한 갈등상황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대처방식도 달라진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어떤 대처방식이 더 효율적이라고는 평가하기 어렵다. 인간은 직면한 갈등상황에 대한 평가, 대처자원에 대한 평가, 특정한 대처방식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대처행동을 선택하게 된다. 이렇게 선택한 대처행동의 효율성에 따라 때로는 특정한 갈등상황이 해결되기도 하고 때로는 오히려 악화..
2023.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