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4)
-
4) 대인 동기의 목표 추구방식
따라서, 어머니의 사랑을 잃지 않으려고 지나치게 매달리는 의존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눈치를 보는 등 불안한 행동을 보이게 된다. 때로는 어머니에 대한 강렬한 애증 감정으로 인해 불안정한 감정반응과 행동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아이는 성장하여 타인의 인정과 사랑에 지나치게 의존적인 사람이 되거나 타인의 사랑을 믿지 못하고 타인의 거부에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하는 불안정한 인간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불안정한 애착의 두 번째 유형은 회피적 애착 ( Avoidand Attachment ) 이다. 회피적 애착 ( Avoidand Attachment ) 은 아이의 애착 행동에 대해 어머니가 지속해서 거부 반응을 보일 경우에 형성된다. 회피적 애착을 형성한 아이는 어머니에 대해 매달리는 행동을 포기하고 혼자 ..
2023.03.17 -
3) 부모와의 애착경험
[정신분석학의 인간론] Sigmund Freud 에 의해 시작된 정신분석 학설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이 자각하지 못하는 무의식적 동기에 의해서 행동한다. 인간을 움직이는 근원적인 무의식적 동기는 성적인 내용을 지닌다.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성적인 동기는 무의식적인 과정을 통해서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그럴듯한 내용으로 변형되어 자각된다. Freud 는 인간의 삶을 성적인 욕구를 분출하려는 육체적 욕망과 이를 억제하려는 사회문화적 규범 간의 갈등으로 보았다. 그는 성적인 원초적 욕구를 충동적으로 발산하려고 하는 심리적 측면을 원초아 (ID) 라고 불렀으며, 도덕적인 사회문화적 규범이 내면화된 심리적 측면을 초자아 (Super Ego) 라고 불렀다. 아울러 원초아와 초자아의 요구를 절충하며 환경의 현실적..
2023.03.15 -
2) 욕구의 충족 경험
2) 욕구의 충족 경험 인간의 욕구는 충족 경험에 따라 욕구의 강도가 달라진다. 갈증은 물은 마시게 되면 사라지듯이, 대인동기도 충분히 충족되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물을 마시지 못하면 갈증이 더욱 심해지듯이, 오랜 기간 충족되지 못한 대인동기는 더욱 강해져서 욕구충족을 위한 행동을 유발하게 된다. 대부분의 심리학자는 개인의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의 강도는 그러한 욕구의 충족 여부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정신분석을 창시한 Freud는 인간의 모든 행동을 내면적 욕구의 발산과정으로 보았다. 인간의 모든 욕구는 발산되어 해소되기를 추구한다. 그러나 발산되지 못한 욕구는 내면적으로 축적되어 끊임없이 발산의 기회를 찾는다. Freud에 따르면, 인간의 성적인 욕구가 발현되는 아동기의 경험이 성격특성을 ..
2023.03.14 -
3. 대인동기의 개인차
이러한 동기는 개인에게 의식될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 잘 의식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인간이 사회적 상황에서 얼마나 다양한 욕구를 지닐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러한 욕구들이 단독으로 작동되는 경우는 드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Murray에 따르면, 어떤 욕구는 다른 욕구보다 우세한 영향력을 갖게 되는데 흔히 충족되지 못하여 절박성을 띠게 되는 욕구가 우세해지게 된다. 이처럼 다양한 욕구들은 서로 융합되기도 하고 다른 욕구에 의해 종속되기도 한다. 아울러 인간의 동기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사건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하여 행동을 유발하게 된다. 대인동기는 지향하는 목표에 따라서 구분되기도 한다. Ford (1992) 는 인간의 대인 동기를 지향하는 목표..
2023.03.12 -
6) 공격 동기
6) 공격 동기 공격 동기는 개체 보존과 종족 보존을 위해 적응적 기능을 하는 주요한 동기이다. 육식동물은 먹이를 얻기 위해 약한 동물을 공격하고 교미 상대를 빼앗기 위해 경쟁자를 공격한다. 때로는 집단 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구성원을 공격하고 공격자에 대한 방어로서 공격행동을 하기도 한다. 인간의 공격성은 기본적으로 동물의 공격성과 유사한 점이 많지만, 훨씬 더 복잡한 양상을 나타낸다. 인간은 공격행동을 자제하게 하는 여러 가지 심리적 기제를 지니고 있지만 때로는 더 파괴적인 공격행동을 하기도 한다. 동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배고픔이 해소되면 더 이상 약한 동물을 공격하지 않으며 같은 종끼리는 공격하더라도 살상하지는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인간은 무자비한 공격을 통해 타인을 살상하기도..
2023.03.10 -
3) 친애동기
친애동기는 여러 가지 적응적 기능을 한다. 첫째, 같은 또래와 가깝게 지냄으로써 자신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인간은 타인과 비교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평가한다. 이때, 자신과 비슷한 특성과 위치에 있는 사람으로부터 얻은 정보가 자신을 평가하는 데 보다 적절한 정보가 되기 때문이다. 사회심리학자인 Fesinger (1954) 는 인간의 친애 행동이 자신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 자료를 얻기 위한 것이라는 사회 비교이론을 제안한 바 있다. 둘째, 친애 행동은 불안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Schachter (1959) 는 실험적 연구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검증한 바 있다. 그는 한 집단의 실험참여자에게 앞으로 시행할 실험에서 고통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지시를 통해 불안을 느끼게 하였지만, 다른..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