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derfer(2)
-
2) 욕구의 충족 경험
2) 욕구의 충족 경험 인간의 욕구는 충족 경험에 따라 욕구의 강도가 달라진다. 갈증은 물은 마시게 되면 사라지듯이, 대인동기도 충분히 충족되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물을 마시지 못하면 갈증이 더욱 심해지듯이, 오랜 기간 충족되지 못한 대인동기는 더욱 강해져서 욕구충족을 위한 행동을 유발하게 된다. 대부분의 심리학자는 개인의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의 강도는 그러한 욕구의 충족 여부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정신분석을 창시한 Freud는 인간의 모든 행동을 내면적 욕구의 발산과정으로 보았다. 인간의 모든 욕구는 발산되어 해소되기를 추구한다. 그러나 발산되지 못한 욕구는 내면적으로 축적되어 끊임없이 발산의 기회를 찾는다. Freud에 따르면, 인간의 성적인 욕구가 발현되는 아동기의 경험이 성격특성을 ..
2023.03.14 -
3) 동기의 위계와 발달
마치 벌과 개미가 집단을 이루어 살듯이, 인간도 본능적으로 집단생활을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인간은 오랜 진화의 과정에서 생존력을 높이는 많은 행동양식을 유전자 속에 간직하여 대대손손 전달해왔다. 유전자 속에 저장된 행동 정보는 뇌 신경구조나 생리적 기제에 영향을 주어 특정한 자극이 주어지면 일련의 행동이 의식적 지각없이 유발된다. 일반적으로 본능은 특정한 종에만 나타나고 그 행동 패턴이 구체적으로 정형화 되어 있는 선천적 반응 성향을 지칭하는데, 인간의 선천적 동기는 매우 다양한 행동으로 융통성 있게 나타나기 때문에 본능과 구분하기도 한다. 인간의 대인 동기에는 후천적인 경험에 의해 학습된 것들이 많다. 또 선천적인 동기는 후천적 경험에 의해서 강화되거나 악화할 수 있으며 변형되기도 한다. 특히 부모의..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