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11)
-
02_다양한 인간관계 2
02_다양한 인간관계 2 5) 공유적 인간관계와 교환적 인간관계 공유적 관계에서는 두 사람의 내면적 특성이 공유되어 상호의존성이 높고 강한 친밀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관계에서는 타인의 행복이 자기 행복이며, 타인의 고통이 자신의 고통으로 경험된다. 일반적으로 공유적 관계는 가족과 연인 또는 매우 친밀한 친구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인간관계의 유형이다. 이에 반해, 교환적 관계에서는 자기 행복을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으며 타인의 행복에 특별한 책임감을 느끼지 않는다. 이러한 관계는 서로 필요한 것을 주고받는 거래적이고 교환적인 성격을 지니게 된다. 아울러 거래와 교환의 공정성, 즉 이득과 손실의 균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환적 관계에서는 주는 만큼 받고 받는 만큼 주어야 한다는 호혜성의 원칙과 투..
2023.02.03 -
02_다양한 인간관계
이에 반해, 이차적 인간관계는 개인적인 매력, 직업적 이해관계, 가치 (또는 이념, 사상, 신념, 종교, 취미)의 공유에 의해 형성되는 인간관계이다. 직장동료, 애인, 친구, 친목단체의 구성원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차적 인간관계의 대상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차적 인간관계에서는 그 가입과 탈퇴가 비교적 자유로우며 일차적 인간관계에 비해 그 관계가 일시적일 수 있다. 2) 수직적 인간관계와 수평적 인간관계 인간관계는 구성원의 나이, 촌수, 학번, 계급, 지위, 권한 등의 동등성 여부에 따라 수직적 인간관계와 수평적 인간관계로 나눌 수 있다. 수직적 인간관계는 상급자와 하급자 간의 불평등 관계를 말하며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관계, 학교에서의 스승-제자관계 또는 선배-후배관계,..
2023.02.03 -
05 대학생과 인간관계 2
05 대학생과 인간관계 2 직업적 성공에는 오랜 준비와 노력이 필요하듯이, 인간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인생을 설계하는 대학생 시기에 인간관계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지니고, 이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습득하는 동시에 다양하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해 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인간관계는 개인의 행복과 불행을 결정하는 삶의 중요한 영역이다. 그러나 인간관계에 대해서 아무도 체계적으로 가르쳐 주지 않는다. 각자 일상생활 속에서 체험을 통해 터득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또, 인간관계는 너무나 복잡하고 미묘하여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심리학에는 인간 및 인간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많은 지식과 인간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경험이 축적되어 있다. 이러한 지식과 ..
2023.02.03 -
05 대학생과 인간관계
04 인간관계라는 삶의 과제 이러한 소모적이고 파괴적일 수 있는 불행한 인간관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내면에 도사리고 있는 이기적 욕망과 자기중심적 속성을 깊이 자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이기적 욕망과 자기중심적 속성을 잘 다스려 조절된 형태로 표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성숙한 인간관계를 위해서는 자기 이해와 자기 조절이 중요하다. 인간관계는 사람 간의 상호작용 이므로, 성숙한 인간관계를 위해서는 그 대상이 되는 주요한 '타인' , 나아가서 '인간' 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타인은 어떤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떻게 반응하며, 나의 말과 행동이 그에게 어떤 영향과 변화를 주는지 등에 대한 이해가 깊을수록 인간관계는 더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된다. 또한 인간관..
2023.02.03 -
02 현대인의 고독
02. 현대인의 고독 셍덱쥐페리의 우화적 소설 '어린 왕자'에 나오는 어린 왕자와 여우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다. 바쁘게 돌아가는 경쟁사회 속에서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맺으며 마음속 깊이 고독을 안고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인간은 나약하고 외로운 존재이다. 그래서 인간은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자 하는 소망을 지닌다. 여우가 말하듯이 '길들이기' 를 통해 친밀한 정서적 유대관계를 맺고자 하는 깊은 갈망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이러한 소망과 갈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좋은 토양이 아니다. 현대사회에서 깊이 있고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래서 많은 현대인은 외로움을 안고 산다. 살아가면서 고독을 느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사노라면 ..
2023.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