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동기(2)
-
6) 공격 동기
6) 공격 동기 공격 동기는 개체 보존과 종족 보존을 위해 적응적 기능을 하는 주요한 동기이다. 육식동물은 먹이를 얻기 위해 약한 동물을 공격하고 교미 상대를 빼앗기 위해 경쟁자를 공격한다. 때로는 집단 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구성원을 공격하고 공격자에 대한 방어로서 공격행동을 하기도 한다. 인간의 공격성은 기본적으로 동물의 공격성과 유사한 점이 많지만, 훨씬 더 복잡한 양상을 나타낸다. 인간은 공격행동을 자제하게 하는 여러 가지 심리적 기제를 지니고 있지만 때로는 더 파괴적인 공격행동을 하기도 한다. 동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배고픔이 해소되면 더 이상 약한 동물을 공격하지 않으며 같은 종끼리는 공격하더라도 살상하지는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인간은 무자비한 공격을 통해 타인을 살상하기도..
2023.03.10 -
3) 친애동기
친애동기는 여러 가지 적응적 기능을 한다. 첫째, 같은 또래와 가깝게 지냄으로써 자신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인간은 타인과 비교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평가한다. 이때, 자신과 비슷한 특성과 위치에 있는 사람으로부터 얻은 정보가 자신을 평가하는 데 보다 적절한 정보가 되기 때문이다. 사회심리학자인 Fesinger (1954) 는 인간의 친애 행동이 자신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 자료를 얻기 위한 것이라는 사회 비교이론을 제안한 바 있다. 둘째, 친애 행동은 불안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Schachter (1959) 는 실험적 연구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검증한 바 있다. 그는 한 집단의 실험참여자에게 앞으로 시행할 실험에서 고통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지시를 통해 불안을 느끼게 하였지만, 다른..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