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밀한관계(2)
-
조작적 조건형성 (Operant Conditioning)
조작적 조건형성 (Operant Conditioning) 은 어떤 행동의 결과가 보상이면 그 행동이 증가하는 반면, 그 결과가 처벌적이면 행동의 빈도가 감소하는 학습의 원리를 의미한다. 우리는 어떤 새로운 행동을 했을 때 상대방으로부터 칭찬을 받게 되면 그러한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된다. 또한 그러한 행동에 대해 꾸중을 받게 되면 그 행동을 더 이상 하지 않게 된다. 인간의 대인 기술이나 대인행동은 이처럼 성장 과정에서 부모, 교사, 친구들로부터 강화를 받은 행동들이 습득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대인 기술과 관련해서 중요한 학습의 원리는 사회적 학습 ( Social learning ) 이다. 사회적 학습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원리를 의미한다. 예컨대, ..
2023.04.12 -
3) 신체언어 (Body Language)
우리는 대화하는 동안 손, 팔, 머리 몸통을 끊임없이 움직인다. 이러한 몸의 움직임을 통해 우리는 많은 것을 표현하고 전달한다. 몸동작을 통해 의사를 표현하는 제스처는 신체언어 (Body Language)의 주요한 범주이다. 우리는 자신의 이야기를 강조할 때는 손을 번쩍 들거나 주먹을 불끈 쥐어 들고, 상대방의 이야기를 반대하거나 중단시킬 때는 손을 내젓기도 한다. 또한 상대방의 의견에 대해서 고개를 끄덕여서 동의를 표현하기도 하고, 고개를 가로저어 반대를 뜻하기도 한다. 물건의 형상이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손과 팔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몸의 움직임을 적절히 잘 사용하는 것은 말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하거나 강렬하게 만드는 기능을 지닌다. 훌륭한 연설가나 웅변가는 대부분 적절하고 강력한 제스쳐..
2023.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