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인간관계(2)
-
4) 대인 동기의 목표 추구방식
따라서, 어머니의 사랑을 잃지 않으려고 지나치게 매달리는 의존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눈치를 보는 등 불안한 행동을 보이게 된다. 때로는 어머니에 대한 강렬한 애증 감정으로 인해 불안정한 감정반응과 행동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아이는 성장하여 타인의 인정과 사랑에 지나치게 의존적인 사람이 되거나 타인의 사랑을 믿지 못하고 타인의 거부에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하는 불안정한 인간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불안정한 애착의 두 번째 유형은 회피적 애착 ( Avoidand Attachment ) 이다. 회피적 애착 ( Avoidand Attachment ) 은 아이의 애착 행동에 대해 어머니가 지속해서 거부 반응을 보일 경우에 형성된다. 회피적 애착을 형성한 아이는 어머니에 대해 매달리는 행동을 포기하고 혼자 ..
2023.03.17 -
2) 인간관계 피상형
2) 인간관계 피상형 인간관계 피상형은 깊이 있고 의미 있는 인간관계를 맺지 못하고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맺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겉으로 보기에 넓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고 있는 듯이 보일 수 있다. 때로는 지나칠 만큼 교제 범위나 활동 범위가 넓으며 다양한 부류의 많은 사람과 알고 지내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자신의 속마음을 털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한 친구가 없는 사람들이다. 즉, 아는 사람은 많지만 진정한 친구가 없는 사람들이다. 인간관계 피상형은 내면적으로 고독한 사람이다. 평소에는 커다란 갈등 없이 지내지만 어려움이 생기면 속마음을 털어놓고 자신의 고민이나 괴로움을 같이 나눌 사람이 없기 때문에 심한 외로움과 고독감에 빠져들게 된다. ' 인간관계 피상형은 다른 사람과 깊이 있고 밀착된 관계를 ..
202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