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적여과(2)
-
개인화 ( Personalization )
흑백논리적 사고 ( all or nothing thinking ) A군은 상점에 가서 판매원이 웃음을 짓거나 상냥하게 인사를 건네며 친절하게 대하지 않으면 자신을 싫어한다고 생각한다. A군에게는 좋아함-싫어함의 두 가지 구분밖에 없기 때문이다. 많은 경우, 낯선 사람을 대할 때 좋지도 싫지도 않은 중립적인 감정을 지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렇게 흑백논리적인 이분법적 사고를 지닌 사람은 그러한 중립지대를 인정하지 않는다. 감정적 추리 감정적 추리 ( Emotional Reasoning 또는 임의적 추리 (Arbitrary Inference)는 충분한 근거 없이 막연히 느껴지는 감정에 근거하여 결론을 내리는 경 우디ㅏ. "내가 그렇게 느껴지는 걸 보니까 사실임에 틀림없다."는 식으로 생각하는 오류이다. ..
2023.07.14 -
3. 대인사고
이러한 결정과정에서 자신이 동원할 수 있는 대처 자원을 평가하고 가능한 대처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판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판단내용에 따라서 우리의 대인행동이 결정되는 것이다. 대인관계 상황에서 일어나는 대인사고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미묘하다. 그러나 우리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대인사고 과정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세가지 과정으로 구분한 것이다. 대인사고 과정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역동적 과정이지만, 의미추론과정, 의미평가과정, 대처결정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대인감정과 대인행동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대처결정 과정은 대인 상황에서 자신이 어떻게 행동하여 대처할 것인가를 판단하고 결정하는 심리적 과정이다. 이러한 결정과정에서 자신이 동원할 수 있는 대처자원을 평가하고 가능한 대..
2023.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