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두효과(2)
-
3) 인상형성의 경향성
[ 첫인상의 중시 ]인상 정보의 통합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Asch(1946)는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그는 '똑똑하다' '부지런하다' '충동적이다' '비판적이다' '고집스럽다' '샘이 많다' 의 6개 단어를 제시하되, 첫 집단에는 이 순서대로 제시하고, 둘째 집단에는 순서를 거꾸로 해서 제시했다. 그리고 각 집단의 참여자에게 그런 특성을 지닌 가상 인물에 대한 인상을 적게 했다. 두 참여자 집단이 적어 낸 인상을 비교해 본 결과, 첫 집단은 그 가상 인물에 대해서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했지만, 둘째 집단은 부정적인 인상을 형성했다. 이런 결과는 먼저 접하는 정보가 나중에 접하는 정보보다 최종적인 인상 형성에 더 중요한 역할을 단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현상은 초두효과 (Primacy Effect )라..
2023.05.13 -
2) 인상형성의 경향성
2) 인상 형성의 경향성 그러나 동일한 외모의 특성을 지닌 사람들은 각기 매우 다른 성격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개인차를 무시하고 암묵적 성격 이론이 융통성 없이 적용될 때, 고정관념 (Stereotype) 이 된다. 예를 들어, '곱슬머리를 지닌 사람은 고집이 세다. 고정관념을 지닌 사람은 어떤 사람이 곱슬머리라는 사실 하나만으로 그 사람을 고집이 센 사람으로 생각하게 된다. 외모의 특성뿐만 아니라 혈액형, 체형, 출생 연도, 출신 지역 등에 근거하여 성격적 특성을 판단하게 하는 고정관념도 있다. 고정관념은 매우 다양한 사람들을 몇 가지 유형으로 단순화하여 지각함으로써 각자의 수고를 덜어준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관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주의가 필요하다. 첫째, 고정관념은 집단의 특성을 사실적으로 ..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