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동기(2)
-
4. 부적응적 대인 동기
4. 부적응적 대인 동기 J군의 경우처럼 부적응적인 인간관계를 나타내는 사람 중에는 대인동기에 문제를 지니는 경우가 많다. 개인이 지닌 대인 동기의 내용과 강도 그리고 그러한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 방식이 부적절할 때, 흔히 부적응적 인간관계가 나타나게 된다. 대인관계에서 부적응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나타내는 대인 동기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극단적인 대인 동기 대인 동기의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한 경우에 인간관계에서 부적응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한 대인관계 동기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은 그러한 동기의 충족을 위해 과도한 노력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생활의 다른 측면이 희생되거나 타인에게 부담을 주게 됨으로써 부적응적 인간관계를 나타내게 된다. 앞의 사례에서 소개한 J군의 경우 대..
2023.03.18 -
제5장 대인 신념
역동 적 관계의 기본전제는 다음과 같다. (1) 특정한 욕구가 덜 충족될수록 그 욕구에 대한 갈망은 더욱 강해진다. (2) 한 욕구가 충족되면 상위욕구가 발생한다. (3) 상위욕구의 충족이 좌절되면 하위욕구가 발생한다. 2. 다양한 대인 동기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인간은 집단생활을 하고 다른 사람과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인간에게 사회적 행동하게 하는 여러 가지 동기적 요인이 있다. 이러한 대인 동기를 이해하는 일은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과연 어떤 동기들이 사회적 행동을 유발하는 것일까? 사회심리학자인 Argyle ( 1983 ) 은 사회적 행동을 유발하는 인간의 보편적인 대인 동기들을 제시한바 있다. 그의 주장에 기초하여 인간의 주요한 대인 동기를 살펴보기로 한다. 1) ..
202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