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행동의 귀인(2)
-
2. 대인행동의 귀인
첫째, A군은 거절당한 원인을 자신의 부족함 때문이라고 내부적 귀인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자신의 특성 중에서도 준수하지 못한 외모나 우수하지 못한 능력 또는 활달하지 못한 성격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외모, 능력, 성격은 개인의 내부적 특성인 동시에 지속적인 특성이므로, 이 경우 A군은 내부적-안정적 귀인을 한 것이다. 둘째, A군은 자신의 데이트 신청 방식이 부적절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B양에게 데이트를 신청할 때의 말투나 행동에 간곡함이나 정성이 부족해서 거절당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트 신청 행동은 A군이 노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내부적 요인이므로, 이 경우는 내부적- 불안정적 귀인을 한 것이다. 셋째, A군은 자신이 거절당한 이유를 B양의 오만하고 쌀쌀한..
2023.07.07 -
3) 인상형성의 경향성
[ 첫인상의 중시 ]인상 정보의 통합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Asch(1946)는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그는 '똑똑하다' '부지런하다' '충동적이다' '비판적이다' '고집스럽다' '샘이 많다' 의 6개 단어를 제시하되, 첫 집단에는 이 순서대로 제시하고, 둘째 집단에는 순서를 거꾸로 해서 제시했다. 그리고 각 집단의 참여자에게 그런 특성을 지닌 가상 인물에 대한 인상을 적게 했다. 두 참여자 집단이 적어 낸 인상을 비교해 본 결과, 첫 집단은 그 가상 인물에 대해서 긍정적인 인상을 형성했지만, 둘째 집단은 부정적인 인상을 형성했다. 이런 결과는 먼저 접하는 정보가 나중에 접하는 정보보다 최종적인 인상 형성에 더 중요한 역할을 단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현상은 초두효과 (Primacy Effect )라..
2023.05.13